오늘은 한글날이다. 한글이 창제된 후 부터 지금까지 제대로 대접받은 적이 있던가?
조선시대때는 한자에 무시당하고, 일제시대에는 일본어에, 요즘은 또 영어에 무시당하고 있는 듯 하다.
어찌보면 한글은 참 기구한 운명을 타고 난 듯 하다.
그러나, 한글자체의 우수성을 알아주기 때문에 지금까지 생존(?)할 수 있었으리라 본다.

얼마전인가, 인도네시아의 한 지역에서 자신의 고유의 언어를 보존하고자 한글을 도입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세상에서 수많은 언어가 지금도 사라지고 있다고 한다. 왜? 그들의 언어를 기록할 문자가 없어서라고 한다.
한글의 우수성은 배우기 쉽다는 것이다.(한글과 한국어 는 다르다. 한글은 쉽다. 그러나 한국어는 어렵다)

서론이 길었다. 오픈소스에서도 한글화 작업이 이슈다.
요즘은 개발초기에 다국어 환경을 염두해두고 개발을 많이 하기때문에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한국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글화 작업이 우선인 경우가 많다. KLDP 라는 곳이 생기고, 한글 문서화 작업이 진행되다가 지금은 오픈소스 프로젝트 자체에 대한 커뮤니티로 발전하게 된다. 그동안 한글화 작업이 중심이 되어 운영되었다고 본다.

여러 오픈소스들이 있고, 아직도 한글화 작업이 필요한 곳이 많다.
해당 오픈소스가 다국어 환경을 갖추고 있으면 그나마 다행이고, 갖추고 개발하더라도 한글이 빠지는 경우가 많다. 왜? 참여하는 개발자가 한글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렇다 보니, 한글화 작업은 사후(개발후) 작업이 대부분이다.
개발후에 사용자가 직접 수정하고 패치를 만들고 커뮤니티에 공개하는 방식이다.

한글화 작업은 다양한 오픈소스를 도입하거나 사용해보도록 할 때(혹은 권유할때) 제일 큰 난관이다. 미려한 화면이나 UI,UX 는 둘째고 한글화가 되어 있지 않으면 아오안(아웃오브안중^^)이 되기 십상이다.
한글이 깨지지 않고 보여야 다음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은 매뉴얼일 수도 있고, 플러그인 개발일 수도 있다.) 아마도 일차관문에 쓰러지는 좋은 오픈소스들이 꽤 많으리라 생각된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이런 지루한 한글화 작업이 다람쥐 쳇바퀴도는 것 같은 느낌이다.
개발시 다국어 지원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라면 개별언어에 따른 별도 개발자가 따로 있을지도 모르고, 언어 번역 단어집(?) 같은 것이 있지 않을까? 메뉴에 쓰이거나 메세지에 쓰이는 문장은 비교적 일정한 범위에 있기 마련이다. 시나 소설을 번역하는 것보다는 일정부분 정형화 되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국내의 한글화 작업은 그런 부분을 무시하고 무대뽀로 진행되는 듯 하다. 그런 단어집(?) 같은 것이 있다면 한글화 작업도 그 부분에 집중할 수 있을테고, 그러면 개발시에 바로 도입하는 오픈소스들이 많을 듯 싶다.
특이한 메세지에 대해 사후 번역하는 정도로 바로 한글화 작업을 할 수 있을 듯 싶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그런 형태는 큰 프로젝트에서는 있을 듯 한데, 작은 프로젝트에는 어려운일일지도 모른다. 보통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들은 개발자의 모국어와 영어 정도만 지원하는 것이 대부분이니...
큰 프로젝트에서는 다국화 환경대처와 다국어 사전(?)을 보유하고 있는 듯한데, 그런 부분도 작은 프로젝트에도 지원이 되면 좋겠다.(그렇게 진행하고 있는 곳이 있는지 궁금하다)
모질라프로젝트 같은 큰 규모에서는 충분히 할 수 있을 듯 한데, 어떤 문제가 있을까?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