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놀로지의 디스크를 삼바 마운트하여 우분투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우분투쪽)

[15523.215931] CIFS VFS: No writable handles for inode
[16798.711632] CIFS VFS: No writable handles for inode
[17040.031477] CIFS VFS: No writable handles for inode
[18304.662429] CIFS VFS: No writable handles for inode
[18658.056606] CIFS VFS: No writable handles for inode
[19876.687363] CIFS VFS: No writable handles for inode
[20117.599812] CIFS VFS: No writable handles for inode
[20476.214572] CIFS VFS: sends on sock 000000003fca1e56 stuck for 15 seconds
[20476.214575] CIFS VFS: Error -11 sending data on socket to server
[20502.797871] CIFS VFS: cifs_invalidate_mapping: could not invalidate inode 0000000029bfb3c4
[20712.507564] CIFS VFS: sends on sock 000000003fca1e56 stuck for 15 seconds
[20712.507567] CIFS VFS: Error -11 sending data on socket to server
[24255.554486] CIFS VFS: sends on sock 00000000199ed322 stuck for 15 seconds
[24255.554489] CIFS VFS: Error -11 sending data on socket to server
[27933.514989] CIFS VFS: sends on sock 00000000100ef432 stuck for 15 seconds
[27933.514992] CIFS VFS: Error -11 sending data on socket to server
[31459.413179] CIFS VFS: sends on sock 00000000143282f3 stuck for 15 seconds
[31459.413183] CIFS VFS: Error -11 sending data on socket to server
[31474.773249] CIFS VFS: sends on sock 00000000143282f3 stuck for 15 seconds
[31474.773255] CIFS VFS: Error -11 sending data on socket to server

어떤 이유인지 명확하지는 않다.

주로 백업데이터를 나스로 백업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위 에러중 윗 부분은 일시적인 듯 하고, 아래부분이 계속 주기적으로(백업 주기) 발생하고 있다.
원래부터 발생한 것은 아닌듯 하고, 어느 시점부터 발생한 듯 싶다.(또는 늦게 발견)

원인을 찾아 해매던중 혹시나 해서 fstab 의 mount 옵션을 바꿔봤다.

//nas/backup  /data/nas-backup   cifs username=guest,password=passwd,iocharset=utf8,vers=2.0,noauto  0  2

기존 samba ver 1.0 으로 연결하던 것을 ver 2.0 으로 바꿔줬다.( vers=2.0 부분 )

위처럼 바꿔보니, 기존 백업주기에 에러메시지가 나오지는 않게 되었다.

이게 해결책인지는 모르겠다.(한동안 살펴보고, 또 발생하는지도 체크해봐야 겠다.)
참고 : 동일하게 ver 1.0 으로 공유된 윈도우10 머신쪽은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지는 않았다.

 

[추가] 1일정도 지났는데, 해당 현상은 사라졌다. 추후 다시 체크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지메일로 이메일이 하나 왔다.

뭔가 기존 메타마스크 지갑을 업그레이드 해야 한다는 주요 내용인 듯 싶다.

스캠인 이유.

1. https://metamask.io/ 의 본인들 주소가 있는데, 엉뚱한 메일로 왔다.

2. 어! 근데, 나는 메타마스크쪽에 나의 이메일주소를 노출한 적이 없다.(메타마스크 설치시 입력하는 것이 없다)

혹시 저런 메일을 봤다면 클릭은 하지말고, 삭제하세요.

또 모르게 클릭을 했다면, 아마도 클릭하면 메타마스크 확인창? 같은 것이 뜰 것 같은데, 그것마저 승인 했다면
계정이 탈취당했을 가능성이 많다. 계정에 자산이 없다면 다행이지만.

혹시나 저 상태에서 계정 자산이 있는데, 아직 가져가지 않았다면, 메타마스크가 아닌 다른 지갑으로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그동안 에버노트를 잘 써왔다. 한때는 거의 매일 업무용/개인용 썼던것 같다.

그런데, 지금은 거의 안쓰는 것 같다. 물론 그 사이 다른 앱으로 나눠서 쓰는 것도 있다.(노션 등)
개인적으로 업무용 공유가 적어진 이유도 있을 듯 하다.

아무튼 기존 에버노트 퍼스널을 쓰고 있었는데, 조만간 5만5천원 => 9만9천원으로 가격을 올린다고 한다.
지금의 5만5천원도 비싸게 생각되는 상황이다(예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량이 적어져서)

계속 쓸지는 좀더 고민하기로 하고, 유료구독은 해지하기로 했다.

그런데...

해지 한다고 하니 40% 할인해준다고 하네. ㅎㅎ
암튼 일단 연장하고, 에버노트 쓸지 좀더 고민해봐야 겠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기존에 맥미니 2019년형? 인텔 맥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 사이 M1 맥미니를 출시했고, 관심이 있었지만, 딱히 손이 가지 않았다.
그 후 M2 맥미니가 나왔고, 내가 원하는 딱 그사양 M2 pro 도 나와서 구매해서 세팅중에 있다.

마이그레이션을 하니 거의 그대로 옮겨 사용가능하니 편했다.
다만 intel -> apple silicon 버전으로 바뀌면서 호환이 안되는 것들이 있었다.(자주 쓰는 것이 아니라 다행)
브라우저 중 brave / edge 가 안되었다(새로 설치하면 되는지 체크해봐야 겠다.)

직업 특성상 원격접속을 자주하는데, 윈도우 / 우분투(리눅스) 등에 자주 접속한다.
이번에 완전히 이동하기 전에 mac to mac 으로 접속세팅을 하는데, 다른 것들과 다른 부분이 있어서 정리한다.

1. mac (intel macmini) => mac (m2 pro macmini) 로 vnc 연결시 (real vnc viewer) 접속은 되는데, 검정화면으로 나온다.
  여러가지 바뀌어 보고, 시스템 => 일반 => 공유 /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 화면기록,손쉬운 사용 등 여러가지 해봐도 안되었다.
  그런데, 공유에서 원격관리 설정을 off 했다가 on 해보니  잘 나오게 되었다.(이게 해결책인지는 불명확함)

2. 해결한 듯 보였지만, 다른 문제가 발생. 한영전환이 이상하다. (Capslock , Ctrl-space 등 단축키)
  real vnc viewer 로 해보면, 접속 후 한영전환 입력이 안된다. 단축키가 아닌 상단의 입력소스를 바꾸고 해도 입력이 안된다.
  native vnc viewer 인 화면공유로 해보면 단축키로는 안되도 입력소스 바꾸면 한글 입력이 되기는 된다.
  단, 호스트/원격지 둘다 한글로 바꿔야 한다.(보통 호스트 상관없이 원격지만 되면 되는데, 이상하다)
  일단 real vnc 의 문제인 듯 하지만, 깔끔한 해결책은 아니다.

실리콘 맥으로 완전히 바꾸면 쓸 일이 없을 듯 하지만, 그 사이의 기록으로 남긴다.

 

[추가1] brave / edge 브라우저는 재설치하니 정상동작했다.

[추가2] 대부분 별 문제 없는 것 같다. 바로 실리콘 맥으로 바꿔사용하기로 했다.(사실 귀찮)
  기존 맥미니 는 윈도우설치해서 본가로 가게 될 듯 하다.(부트캠프 윈도우 문제 없으려나.)

 

[m2 pro 총평]
기존 인텔맥 쓰다가 m2 pro 로 바꾸니 신세계. 기존에는 브라우저 좀 띄워놓으면 버벅였는데, 전혀 그런게 없다.
그래서 미사용일때는 창 닫기를 했는데, 이제 그럴필요가 없다. 정말 쾌적.
사양차이가 있지만, m1 으로 바로 이전 안한게 후회 될 정도.  결론은 대만족.

 

헐. 난 정가 주고 샀는데. (와우 할인가 적용하면 10만원 넘게 할인 받을 수 있나보다. 아꿉)

아래 광고도 한번 넣어봤다. 관심있으시면 ...

 Apple 2023 맥 미니 M2, M2 Pro 10코어, 16코어, 512GB, 16GB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뭐야. 더 싸졌네 - 왠지 억울한데.]

[추가-할인 가격은 계속 바뀌는 것 같다]
  지금은 할인금액이 많지 않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주로 벌쳐(vultr) 를 쓰고 있다. 예전에는 별 문제 없었던 것 같은데, (데이터가 아니라, 느낌이지만)
요즘 좀 장애가 많이 발생하는 느낌이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여러업체가 있으니, 나누어서 서비스를 구동하는 것이 여러점에서 좋다.(위험 분산등)

예전에 디지털오션을 더 많이 쓰던 때도 있었는데, 다시 관심을 가져보려고 한다.

필요하신 분은 다음 링크로 가입해서 사용하세요.(200$ 크레딧을 준다고 하네요)

 DigitalOcean Referral Badge

벌쳐쪽 프로모션은 2주간인데, 디지털오션쪽은 2달간이네요.(더 좋았군요.)
(테스트 하기에는 2주는 좀 짧았는데, 2달이면 충분할 듯 하다.)

단점이라면, 지원하는 지역(리전)이 벌쳐쪽 보다는 적다.

예전에는 더 많았던것 같은데, 아닌가? (기억이...)

Droplets 라는 서버자체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app 형태나 kubernetes (docker)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번에 디지털오션을 사용할 때 , app / kebernetes 를 사용해봐야 겠다.

 

마찬가지로 꼭 필요하신 분만 사용하세요.( https://m.do.co/c/647afb4dc9bf )

주의) 가입/해지 등 여러계정 신청 / 신용카드 무분별하게 등록하면 블랙리스트에 올라갈 수 있습니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