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10.04 에서 samba mount 사용하기(fstab)


저의 개발환경 구성을 이렇게 하고 있다.(사정이 있어 기존 구성된 환경을 유지하려다 보니 복잡해 보인다)

                                                     [개발서버(소스)]  => 개발VM(nfs)    => web-dev
외부작업환경1)               윈도우 네트워크 드라이브 -> vm (smb)
외부작업환경2) (remote) -> sftp -> smb_mount -> vm (smb)

그에 맞게 작업환경을 꾸미다보니 sftp 로 직접 붙이려니 애매한 부분이 있었다.
그래서 중간에 smb mount 해서 사용하기로 했다.


1. samba 관련 설정. /etc/samba/smb.conf (설치 부분은 생략)

[httpd]
   comment = working dev httpd
   path = /work/httpd
   browseable = yes
   hosts allow = 127.0.0.1
   force user = www-data
   force group = www-data
   public = yes
   guest ok = yes
   writable = yes
   printable = no
   create mask = 0765
   directory mask = 0755

2. mount 에 필요한 패키지 설치

# apt-get install smbfs

  최신 우분투 버전은 cifs-utils 로 설치하는 듯 함.

3. /etc/fstab 에 다음처럼 항목 추가

//linux/httpd  /smb_mount/httpd  smbfs uid=user,gid=adm,password=,iocharset=utf8,noauto  0  2

예전버전에 codepage=cp949 등이 쓰였는데, 언제부터인가 옵션이 빠졌음. iocharset 만 추가

uid , gid 는 서버의 접근계정 아이디/그룹
password 옵션은 암호가 있으면 넣고, 없으면 그냥 빈란

4. 마운트

# mount /smb_mount/httpd

크게 어려운 부분은 없다.(자신에 맞게 환경설정은 변경)

해당위치로 /smb_mount/httpd 로 sftp 접근해서 파일을 직접 수정해서 작업한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갤럭시S5 에서 충전커버확인 메시지가 무한반복 된다. 화면이 계속 켜졌다 꺼졌다 한다.





갤럭시S5 에서 충전커버확인 메시지가 무한반복된다.
usb 충전기만 연결한 상태.

충전기를 연결하고, 충전중인데, 화면이 꺼지면, '충전커버 확인' 메시지가 떠서 화면이 켜지고, 다시 화면이 꺼지고, 메시지가 켜지고를 반복한다. 무한 반복한다. 관련 이슈를 검색 해봐도 이런 사례를 아직 발견하지 못함.

프로그램상의 충돌인지, 기기의 문제인지 더 살펴봐야 겠다.


# 원인을 찾은 것 같다.

아무래도 충전기의 전력 문제인 것 같다.
정품(번들)은 2A 인데, 위 현상이 일어나는 충전기는 1A 가 안되는 충전기.
일정값 이하일때 저런 메시지가 나오는 듯 하다.

화면에 보이듯이 충전중이라고 나오는데, 아예 충전이 안되면 모를까 메시지를 조절하는게 좋을 듯 한데, 프로그램상으로 수치를 조정하면 해결이 될 듯 하다.
삼성에서 이런 이슈를 알고 고쳐줄지는 모르겠지만...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노트북의 터치패드의 좋은 부분중 하나가 가로 스크롤이 편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데스크탑용 터치패드를 사볼까 하는 생각도 한다.

우분투에서 마우스로 가로스크롤이 되도록 설정하고자 한다.

관련정보 : http://askubuntu.com/questions/404737/horizontal-scrolling-in-firefox-to-shiftmouse-scroll-instead-of-back-forward

위 링크에 나와있다.

크롬에서는 기본적으로 되나 보나, 위 링크를 적용하지 않고 해보니 잘 된다.(Shift - scroll )


요약해서 설명하자면,

1) 관련패키지 설치

$ sudo apt-get install xautomation xbindkeys

2) .xbindkeysrc.scm 파일 생성  후 xbindkeys 실행.

; bind shift + vertical scroll to horizontal scroll events
(xbindkey '(shift "b:4") "xte 'mouseclick 6'")
(xbindkey '(shift "b:5") "xte 'mouseclick 7'")

3) firefox - shift scroll 세팅 비활성화(기본 명령은 뒤로가기/앞으로가기 )

주소창에서 about:config 명령을 내려서 아래의 두가지 '사용자 설정' 값을 변경한다.

mousewheel.with_shift.action
mousewheel.with_shift.action.override_x

두값을 각각 0 , 1 으로 변경.


- 위 설정 문제점

파이어폭스에서 shift + scroll 이 되긴하는데, 너무 조금씩 스크롤이 되서 불편하다.

그냥 직접 FF 에서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관련출처 : https://coderwall.com/p/xnez3g

about:config 에서 설정변경함.

general.autoScroll = true
mousewheel.with_shift.action = 1

위 두값을 변경하고, 스크롤되는 speed 는

mousewheel.with_shift.delta_multiplier_x = 1000

값을 변경한다. 1000 정도가 편한것 같다. (값은 본인 취향에 따라)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한다면, 위 xbindkeys 는 설정 안해도 된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윈도우 운영체제만을 사용하다가 리눅스(유닉스)/맥OS 를 사용하려는 분들이 제일 어려워 하는 부분이

파일(폴더)권한 permission 에 관한 것일 듯 하다. 그러나 개념을 한번 익혀놓으면 그리 어렵지는 않다.


윈도우만 쓰는 분들도 쇼핑몰,블로그 등을 운영하다 보면 호스팅을 사용하는 경우가 생긴다.
그러면 대부분 리눅스 운영체제의 호스팅을 사용하게 된다.

물론 호스팅을 사용하더라도 퍼미션에 관한 사항을 체크할일은 거의 없지만, PG 결제모듈을 연결하거나 할때 필요한 경우가 생긴다.

다음은 kcp 모듈의 실행권한이 필요한 파일예시이다. (console 을 주로 쓰긴 하지만, 익히기 쉽게 Filezilla 의 파일권한 메뉴를 통해서 본 화면이다)

크게 소유자권한 / 그룹권한 / 공개권한 이라는 것이 있는데, 주로 소유자/공개 부분을 유념해두면 된다.(그냥 동일하게 설정하거나...)

읽기 권한 : 해당 파일을 볼 수 있는 권한을 말한다. 텍스트 파일이면 편집기등을 통해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게 된다.
쓰기 권한 : 파일을 열어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이다. 삭제도 포함된다.
실행 권한 : 파일을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이다. 이 부분이 중요한데, 결제 모듈같은 경우 결제/결과보기 등을 해당 모듈(파일)을 실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위 그림에서 실행 권한을 체크해줘야 한다.

콘솔상의 명령은  

chmod 655 pp_cli

정도가 되겠다.
보통은  chmod 777 pp_cli / chmod 707 pp_cli 를 많이 사용한다.(보안등의 문제는 이 글에서는 생략한다)


그리고 폴더(디렉토리)의 권한은 파일과 비교해 동작이 약간 다른 부분이 있다.

읽기 권한 : 폴더내의 파일리스트를 볼 수 있는 권한이다.
쓰기 권한 : 폴더내에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권한이다.
실행 권한 : 폴더로 이동(?)할 수 있는 권한이다.

결제 모듈등에서 또 중요한 부분이 있는데, 결제를 한 후 결과를 파일등에 로그를 남기는 경우가 있다.
kcp 같은 경우 log 폴더에 201406 등의 월별로 폴더를 생성하고 일별로 파일을 생성해 로그를 남긴다.
(다른 모듈 이니시스 / LGU+ 등도 비슷하다)

그래서 log 폴더는 쓰기/실행 권한을 주는게 좋다.

chmod 707 log  

의 명령으로 해준다.

Filezilla 를 사용한다면

위 처럼 777 전체로 줘도 되고, 그룹권한은 뺴고 줘도 된다.(보통의 웹호스팅 환경에는 비슷하다)

하위 디렉토리까지 변경 하려면 위의 하단부분 옵션을 체크해서 처리 해주면 된다.

콘솔 명령으로는 -R 옵션을 추가해준다.

chmod -R 707 log

이런 식이다.


초보자는 파일/폴더 권한에 대한 사항은 위 정도만 이해하고 있으면 무리없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프로젝트 관리 - 이슈관리 로 레드마인(redmine) 을 사용하고 있다.

처음에는 직접설치로 연동하려고 했는데, 실패를 했다.(nginx 에 붙이려고 해서 그런가?)
괜히 엉뚱한 곳에 힘을 빼는니 bitnami 를 사용해서 설치했다.

https://bitnami.com/stack/redmine
다운받으면 (bitnami-redmine-2.5.1-1-linux-x64-installer.run) 이런식으로 파일을 받는데, 해당 파일을 실행시키면 알아서 설치한다.

설치위치는 보통 /opt/redmine-2.5.1-0/ 이다. (그사이 버전업이 되었나 보다 업그레이드를 해야겠네...)



자세한 설치방법은 생략. CKeditor 플러그인을 설치하고자 한다.

# CKeditor 플러그인 설치

프로젝트 위치 : https://github.com/a-ono/redmine_ckeditor

플러그인 위치는  {레드마인설치위치}/apps/redmine/htdocs/plugins 이다.

해당 폴더에서

# git clone https://github.com/a-ono/redmine_ckeditor.git

명령을 해주면 된다.

접속 에러가 나는 경우 zip 파일을 받아서 풀어줘도 된다.

# wget https://github.com/a-ono/redmine_ckeditor/archive/master.zip


# 첫번째 시도


# 두번째 시도



bitnami 의 실행스크립트  ./ctlscript.sh restart  로 재시작 해준다.


=> 실패. 뭔가 충돌이 나는 듯 함.





# CKeditor 편집기로 사용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