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에서 플래시 와 자바에 대한 설정을 해줘야 한다.

플래시 플러그인이 좀더 많이 사용되긴 하다. 자바를 사용하는 경우가 가끔있다.

oracle 의 java 를 설치하려면 다음 패키지를 사용한다.


  add-apt-repository ppa:webupd8team/java

  apt-get update

  apt-get install oracle-java8-installer 


설정후 브라우저에서 자바를 띄우려할때(애플릿) 보안 설정등으로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경우 jcontrol 을 실행시켜서 관련 설정을 해준다.

보안레벨을 중간(최하)로 하는 것 보다  "사이트 목록 편집" 에서 허용하려는 사이트를 추가 해주는 방식이 좋을 듯 하다.(선택은 알아서)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sublime text 3 환경에서는 그냥 UTF-8 을 기본으로 사용하는 것이 편하다.

간혹 euc-kr 파일을 편집할 필요가 있는 경우 convertToUTF8 패키지를 설치해 해결한다.

혹시 설치 후 다음과 같은 에러를 만나면(우분투/맥OS 에만 해당하는 듯 하다)

Oops! The file {열려고하는 파일} is detected as EUC-KR which is not supported by your Sublime Text.

Please check whether it is in the list of Python's Standard Encodings (http://docs.python.org/library/codecs.html#standard-encodings) or not.

If yes, please install Codecs33 (https://github.com/seanliang/Codecs33/tree/linux-x64) and restart Sublime Text to make ConvertToUTF8 work properly. If it is still not working, please kindly send the following information to sunlxy#yahoo.com:
====== Debug Information ======
Version: 3059-x64
Platform: Linux-3.13.0-27-generic-x86_64-with-debian-jessie-sid
.........
Encoding: EUC-KR

관련이슈 : https://github.com/seanliang/ConvertToUTF8/issues/36


그냥 package control 에서 Codecs33 패키지를 설치해주면 끝.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우분투에서 어느 정도 한글을 쓰는데는 별 문제는 없다.

그런데, 이번에 sublime text 3 로 이전하면서 한글사용에 문제가 많다.
윈도우 / 맥OS 에서는 잘 되는 듯 싶다. 아무래도 제일 사용자가 적다보니 개발이슈에도 우선순위가 밀려나는 것 같다.

스스로 해결해야지.


# input helper 패키지.

sublime text 3 에서 패키징 방식이 좀 달라진 것 같다.

{HOME} / .config/sublime-text-3/Installed Packages

내에 zip 파일 형태로 바뀐 것 같다.

package control 으로 설치하면 InputHelper.sublime-package 가 해당 폴더에 저장된다.

저 파일을 zip 파일로 풀어서  {HOME} / .config/sublime-text-3/Packages/InputHelper 폴더로 복사한다.

실행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오면 ( ST3 의 ctrl-` 를 해보면 보인다)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sublime_plugin.py", line 549, in run_
    return self.run(edit)
  File "{HOME}/.config/sublime-text-3/Packages/InputHelper/inputhelper.py", line 21, in run
    proc = subprocess.Popen(args, stdout=subprocess.PIPE)
  File "X/subprocess.py", line 818, in __init__
  File "X/subprocess.py", line 1416, in _execute_child
PermissionError: [Errno 13] Permission denied

InputHelper/lib 폴더의

chmod 777 linux_text_input_gui.py

실행권한을 준다.

=> 여기까지 해주면 일단 동작에 이상이 없다.

새로운 창이 떠서 입력하는 것이라 불편하긴 하다. 익숙해지면 괜찮긴 하다.


# sublimeibus 패키지 (아직 미해결)

github 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해야 한다.

# git clone https://github.com/chikatoike/SublimeIBus.git 

받은 파일을 역시 Packages/ 폴더로 복사한다.

ST3 을 실행 후 검정화면으로 먹통이 된다면 다음 패키지 중에 빠진 것이 있을 것이다. 설치해준다.

# apt-get install python-ibus python-dbus python-xlib

보통 python-xlib 가 빠져있을 것이다.


실행까지는 되는데, 다음과 에러가 있어서 작동하지 않는다. (미해결)

sublime-ibus-agent.py: error expr: disable(0)

sublime-ibus-agent.py: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HOME}/.config/sublime-text-3/Packages/SublimeIBus/sublimeibus/sublime-ibus-agent.py", line 575, in __stdin_cb
    exec(expr)
  File "<string>", line 1, in <module>
  File "{HOME}/.config/sublime-text-3/Packages/SublimeIBus/sublimeibus/sublime-ibus-agent.py", line 512, in disable
    imcontexts[id_no].disable()
AttributeError: 'IBusELInputContext' object has no attribute 'disable'

좀더 연구해봐야 겠다.

추후 해결되면 추가 포스팅.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우분투 13.10 에서 init 스크립트가 자동실행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기존에는 /etc/init.d 에 실행파일이 넣고, /etc/rcX.d 의 각 런레벨(X)에 해당하는 폴더에 S30mysql 이런식으로 symbolic 링크하는 방식이었다. (sys-v 방식인가?)

ln -s /etc/init.d/mysql /etc/rc2.d/S30mysql

또는

update-rc.d mysql defaults
update-rc.d -f mysql remove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ubuntu 에서 /etc/init 폴더에 mysql.conf 파일을 넣고, 해당파일에

start on runlevel [2345]
stop on starting rc RUNLEVEL=[016]

이런식으로 실행할 runlevel 을 지정해서 자동실행하도록 했다.(upstart 방식? systemd?)

우분투에서 두가지 다 혼용해서 쓰고 있다.

/etc/init/mysql.conf 를 부팅시 자동실행되지 않게 하고자 한다.

echo 'manual' > /etc/init/mysql.override

위 처럼 XXX.override 파일을 만들어주면된다. 내용은 manual 을 넣어준다.


좀 복잡할 수 있지만, 위 사항만 기억하면 된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 우분투(리눅스) 에서 하드용량이 없다고 나오는 문제(No space left on device)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 touch /tmp/check
touch: cannot touch `/tmp/check': No space left on device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을 내렸을때 용량이 없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하드용량을 확인해보면.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xvda1       19G  3.0G   15G  17% /
udev            236M  4.0K  236M   1% /dev
tmpfs            98M  180K   98M   1% /run
none            5.0M     0  5.0M   0% /run/lock
none            245M     0  245M   0% /run/shm
none            100M     0  100M   0% /run/user

아직 용량은 충분한데 이상하다.

# df -i
Filesystem      Inodes   IUsed IFree IUse% Mounted on
/dev/xvda1     1253376 1253376     0  100% /
udev             60266     385 59881    1% /dev
tmpfs            62675     261 62414    1% /run
none             62675       2 62673    1% /run/lock
none             62675       1 62674    1% /run/shm

none             62675       1 62674    1% /run/user

바로 inode 의 갯수가 꽉 찬것이다.

분명히 어딘가에서 너무 많은 파일이 등록이 되어 있는 것이다.


범인을 찾아라.

# for i in /home/*; do echo $i; find $i |wc -l; done

=> 해당 위치를 찾아라.

# for dir in *; do [ -d "$dir" ] && echo "$dir" && find "$dir" | wc -l; done

둘다 명령은 동일.(디렉토리를 지정하거나 현재디렉토리를 기준)
의심되는 위치를 위 명령으로 해본다.

결과

session
1194823

=> 찾았다 범인.

너무 많은 세션파일이 생성되어 하드 용량이 남았어도 inode 갯수가 꽉 차서 더이상 파일을 생성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저 파일들을 정리해주면 된다.

파일이 너무 많으니 rm -rf session 등으로 해주는게 좋다.(각자 알아서)

정상.

# df -i
Filesystem      Inodes IUsed   IFree IUse% Mounted on
/dev/xvda1     1253376 58729 1194647    5% /
udev             60266   385   59881    1% /dev
tmpfs            62675   261   62414    1% /run
none             62675     2   62673    1% /run/lock
none             62675     1   62674    1% /run/shm
none             62675     1   62674    1% /run/user

 => 이제 정상으로 나온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