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캠이 노는게 있어서 2개를 연결해서 테스트 해봤다.

모델은
Samsung Electro-Mechanics Co. MPC-C30 AnyCam Premium for Notebooks [pwc]
OmniVision Technologies, Inc. OV511+ Webcam
Z-Star Microelectronics Corp. ZC0301 Webcam

현재 쓰고 있는 모델은 마지막 ZC0301
모듈은 gspca_zc3xx 를 올려서 사용한다.(자동으로 모듈이 올라온다)
OV511 은 gspca_ov519 를 사용한다.
MPC-C30 은 pwc 라는 것을 사용하는데, 드라이버가 잘 안 맞는지 작동하지 않는다.

OV511 은 Cheese 로 연결해서 보면 잘 나온다.
그런데, motion 쪽에 연결하면 motion 이 segfault 를 내뱉으며 죽는다.


그래서 최근에 구매한 놈을 연결하기로 했다.
연결하니  Sirius USB2.0 Camera 라는 놈인것 같다.
이것은 UVC 연결을 지원한다.  드라이버도 uvcvideo 모듈이 올라온다.
치즈도 잘되고 motion 에서도 잘 연결되어 작동한다.

카메라 두개를 motion 에서 사용하려면
/etc/motion/motion.conf 에서 마지막 부분의 주석처리를 빼주고 적당한 경로로 바꿔준다
thread /etc/motion/thread1.conf
thread /etc/motion/thread2.conf
이런 부분이 있다. thread1 이 첫번째 카메라, thread2 는 두번째 카메라 의 설정이 된다.
threadN.conf 파일을 주석빼고 보면
cat thread1.conf | grep -v '#'
이런 내용이다.
videodevice /dev/video0
input 8
text_left CAMERA 1
target_dir /tmp/motion1
webcam_port 8081

;on_picture_save /usr/local/motion-extras/camparse1.pl
;on_movie_end /usr/local/motion-extras/mpegparse1.pl
카메라가 인식되면  /dev/video0 , video1 으로 장치드라이버가 생기게 된다.
각 thread1,2 에 각각 장치드라이버를 적어주다.
input 8 은 기본 usb 카메라일때를 말하는 듯(주석설명에 그렇게.)
target_dir 은 움직임이 포착되면 이미지로 저장이 되는데 그 저장위치를 지정한다.
webcam_port 는 웹브라우저로 카메라 영상을 볼 수 있는 포트를 지정한다.
카메라별로 다르게 포트를 지정해준다.

on_picture_save , on_movie_end  부분은 추후 카메라영상 원격 저장하기에서 다룰 예정이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윈도우PC를 FTP 서버로 만들어 주는 filezilla server 를 이용해서
공유기내에서 정상작동하도록 설정해본다.

1. filezilla server 다운로드
http://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type=server

2. 설치후에 server 설정
 User 설정 에서 사용자를 등록하고, Shared Folder 를 설정한다.(자세한 설명은 생략)
  Setting 에서 General settings 에서 기본 포트 21 대신에 다른 포트를 지정해준다.
  보통 ISP 에서 기본 FTP 포트를 막아놓는다.
  예를 들어 2221 포트등을 지정한다. 이 포트는 나중에 공유기 세팅에서 포트포워딩 해줄 것이다.

Passive mode settings 부분에서 Retrieve external IP address from  부분을 체크해준다.(Default 로 해도 되긴하는데 특정 client 에서 접속이 되지만, ftp data port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포트범위도 지정해준다. (이 포트 범위를 공유기에서 설정해 줄 것이다.)

여기까지하면 FTP 서버 설정은 끝났다. 로컬에서 접속해보면 이상없이 접속이 되어야 한다. 접속이 안되면 접속port 확인, User 설정, 공유폴더 설정 등을 다시 확인한다.

3. 방화벽 설정 해제.
 윈도우XP SP2 이상에서는 방화벽이 작동한다. 방화벽에서 FTP 접속을 할 수 있도록 FileZilla Server 를 등록해준다.
  제어판 -> Windows 방화벽 -> 예외  항목에서
프로그램 추가 로 FileZilla Server 폴더로 찾아들어가서 FileZilla Server.exe 를 직접등록해준다.
기본으로 나와 있는 FileZilla Server Interface 라는 것을 선택하면 안된다.

여기까지 하면 공유기 내부의 다른PC 에서 접속할 수 있다. 접속이 안된다면 방화벽 설정을 다시 확인한다.

4. 외부 접속 가능하도록 공유기의 포트포워딩 설정.
 공유기관리 접속을 한다. (보통 192.168.0.1 이지만, 공유기 마다 다를수 있으니 매뉴얼참조)

FTP 서버를 설치한 IP 주소와 설정에서 포트범위를 적고 포트포워드 설정을 추가한다. (프로토콜 부분을 tcp ,udp 모두 지정해주는 것이 좋을 듯 하다)
(공유기에 따라 범위지정이 안되고, 하나씩 추가해줘야 하는 경우도 있다.그런경우 범위를 좀 줄여서 설정한다. 20~25 정도)


여기까지 하면 외부접속이 가능해진다. 1,2,3 까지 다 접속이 되는데, 4번에서 안된다면 포트지정이 잘못된 것이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구글톡이 윈도우,맥,리눅스 를 모두 지원한다.
우분투에서 구글톡 플러그인을 설치할 수 있다.

1. gmail -> settings -> Chat 에서 두번째 항목
  Voice and video chat 항목을 보면 구글톡 플러그인을 다운받는다.
  직접링크 : http://www.google.com/chat/video?hl=ko 에서 다운받아 설치한다.
  리눅스(우분투)에서는 deb 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된다.
  dpkg -i google-talkplugin_current_i386.deb
  설치하면 /opt/google/talkplugin 에 설치된다.

2. firefox 를 실행해서 도구 -> 부가기능 -> 플러그인 항목을 보면
  정상적으로 구글 플러그인 에 나와야 한다.

우분투 버전에 따라 다르겠지만, 쓰고 있는 ubuntu 10.04 에서는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았다.

이유는 apparmor 때문이다.
/var/log/kern.log 나 message.log 등을 확인해보면
kernel: [77536.598461] type=1503 audit(1295939125.913:24):  operation="open" pid=4565 parent=4561 profile="/usr/lib/firefox-3.6.13/firefox-*bin" requested_mask="::r" denied_mask="::r" fsuid=1000 ouid=0 name="/opt/google/talkplugin/libnpgoogletalk.so"
이런 메세지를 볼 수 있다. 우분투의 보안강화를 위해 적용된 기술인데, 불편하지만 가급적 따라 주는것이 좋다고 본다.

3. /etc/apparmor.d/usr.bin.firefox  파일에 다음을 추가한다.
  # for google talk
  /opt/google/talkplugin/* mr,
  /opt/google/talkplugin/GoogleTalkPlugin Uxr,
  /opt/google/talkplugin/lib/* mr,
  /dev/ati/card0 rw,
  /proc/ati/major r,
   위 3줄은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추가한 것이다. 그 밑의 ati 나오는 부분은 사운드카드를 사용하기 위한 것인데, 사용자의 보드에 따라 다른 값이 나올 수 있을 듯 하니 kern.log 에 나오는 메세지를 확인해서 추가해준다.

gmail -> settings -> chat 항목에서 비디오,사운드 등을 확인해본다.
실제 영상채팅을 테스트해보진 않았지만, 테스트시 화면과 사운드가 정상적으로 나오는 것 까지 확인했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경고 : 이 방법은 정확한 해결책이 아닐 수 있다.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적용하자.

roundcube 를 쓰면서 좀 불편한 점이 한글메일이 간혹 깨지는 경우였다.
깨지는 경우는 roundcube 가 이상있는 것이 아니라, 보내는 쪽에서 메일의 헤더에 charset 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이다. 대부분 메일 규칙을 지키지 않는 아주 불량한 메일이라고 봐도 된다.

그래도 간혹 봐야 하는 경우가 생기니. 정부(관공서)메일에서도 심심찮게 발견된다.
간단하게나마 몇 부분(파일2개)을 수정해서 한글을 볼 수 있게 해보자.

1) config/main.inc.php ( 라인 수는 다를 수 있다. )
497    //$rcmail_config['default_charset'] = 'ISO-8859-1';
498    $rcmail_config['default_charset'] = 'EUC-KR';
기본 ISO-8859-1 으로 지정된 것을 EUC-KR 로 지정했다.(위처럼 주석처리하거나 바꿔준다)

2) program/include/rcube_imap.php
2369 라인 정도 ( _set_part_filename 함수 내 )
if( $part->charset == 'us-ascii' ) $part->charset = 'euc-kr';

 // decode filename
if (!empty($filename_mime)) {
    $part->filename = rcube_imap::decode_mime_string($filename_mime,
    $part->charset ? $part->charset : ($this->struct_charset ? $this->struct_charset :
    rc_detect_encoding($filename_mime, $this->default_charset)));
}
else if (!empty($filename_encoded)) {
    // decode filename according to RFC 2231, Section 4
    if (preg_match("/^([^']*)'[^']*'(.*)$/", $filename_encoded, $fmatches)) {
    $filename_charset = $fmatches[1];
    $filename_encoded = $fmatches[2];
    }
    $part->filename = rcube_charset_convert(urldecode($filename_encoded), $filename_charset);
}


2449 라인 정도.( &get_message_part 함수내 )
if ($body && $o_part->charset
    && preg_match('/^(text|message)$/', $o_part->ctype_primary)
) {
    if( $o_part->charset == 'us-ascii' ) $o_part->charset = 'euc-kr';
    $body = rcube_charset_convert($body, $o_part->charset);
}

imap 으로부터 charset이 지정되지 않으면 us-ascii 로 지정되는데, 이런 것들을 euc-kr 메일로 가정하는 것이다. roundcube 는 내부적으로 UTF-8 로 변환한다.
더 하부적으로 내려가서 바꿔줄수도 있을 듯 한데. 일단 여기까지.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테이블 구조를 볼때.
보통
mysql> desc {table_name}
이런식이다.

이것도 좋은데.
이게 더 보기 편하다.
mysql> show create table {table_name}\G

http://dev.mysql.com/doc/refman/5.0/en/show-create-table.html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