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의 데이터를 우분투에서 가져와서 처리하는 시스템이 있다.

윈도우 공유를 우분투에서 smb 마운트 하여 사용중이다.(ubuntu 22.04 )

그런데, 며칠(수일~수십일)이 지난 후 우분투가 다운 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커널 메시지에 다음과 같은 부분이 있다.

kernel: [242843.663373] general protection fault, probably for non-canonical address 0xdead000000000108: 0000 [#1] PREEMPT SMP NOPTI
kernel: [242843.663381] CPU: 4 PID: 1689344 Comm: kworker/4:1 Tainted: G           OE      6.5.0-35-generic #35~22.04.1-Ubuntu
kernel: [242843.663385] Hardware name: ASUS System Product Name/PRIME B760M-A, BIOS 1002 04/03/2023
kernel: [242843.663387] Workqueue: cifsiod smb2_cached_lease_break [cifs]
kernel: [242843.663452] RIP: 0010:smb2_close_cached_fid+0x2a/0xd0 [cifs]


 kernel: [254783.343885] CPU: 2 PID: 1619082 Comm: kworker/2:2 Tainted: G      D    OEL     6.5.0-26-generic #26~22.04.1-Ubuntu
 kernel: [254783.343888] Hardware name: ASUS System Product Name/PRIME B760M-A, BIOS 1002 04/03/2023
 kernel: [254783.343890] Workqueue: cifsiod smb2_reconnect_server [cifs]
 kernel: [254783.343948] RIP: 0010:native_queued_spin_lock_slowpath+0x273/0x300
주요 메시지

Workqueue: cifsiod smb2_cached_lease_break [cifs]
smb2_close_cached_fid

cifsiod smb2_reconnect_server [cifs]

native_queued_spin_lock_slowpath

혹시 부품이상인가 싶어 여러가지 시도를 해봐도 동일(비슷)한 다운 현상이 발생하였다.

사실 그동안 위 메시지를 그냥 넘겼었다.
비슷한 구성의 다른 시스템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현상이라, smb 쪽 이슈일까 싶은 생각조차 들지 않았던 것 같다.

이제야 눈에 띄었지만, 실제로 원인인지는 몇가지 설정을 해보면서 찾아봐야 겠다.

smb 의 캐시관련 이슈를 기준으로 찾아봐야 겠다.
캐시가 full 이 되어 중지되는 그런 것일까? 네트웍 접속 지연등의 문제일까?

1차 시도 : 일단 마운트시의 기본값이 cache=strict 인데, cacha=none 으로 해보고 상황을 지켜볼 참이다.

/etc/fstab 예시

//windows/share  /data/  cifs uid=user,gid=user,username=guest,password=,iocharset=utf8,cache=none  0  2

위가 안된다면 2차시도는

echo "0" > /proc/fs/cifs/LookupCacheEnable

3차 시도는 smb 버전 변경 ( 3.0 / 2.0 / 1.0 다른 버전 시도)

현재
vers=3.1.1

시도
vers=1.0

...

잘 해결 되길...

=======

[추가]

1차 시도를 해봤다. 그런데, 전송속도가 캐시가 없으니 너무 떨어진다. (거의 1/5 수준으로)
거의 사용이 어려운 수준.

그러면 2차 시도도 마찬가지로 쓰기 어려울 듯 . 바로 3차 시도로 넘어가야 할 듯 하다.

[추가2]

3차 시도 는 이런 에러?(경고)가.( 상위버전 3.0 / 2.0 부터 시도해볼까?)

CIFS: VFS: Use of the less secure dialect vers=1.0 is not recommended unless required for access to very old servers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간만에 우분투를 데스크탑 용도로 활용하려고 한다.(주로 서버용으로 많이 썼다.)
맥미니를 쓰면서 더욱 원격으로 사용하게 된다.

놀고(?)있는 컴이 있어서, 데스크탑 용도로 써보기로 하고, 최근 배포판 22.04 를 설치했다.

1. 처음에는 우분투 기본 공유를 써보기로 했다.

이런 메세지가 보이면서 화면이 검정이 된다.

/etc/gdm3/custom.conf

# uncomment
WaylandEnable=false

위 라인을 설정해주고, 재부팅.

접속을 RealVNC 로 접속했는데, 역시나 검정화면

화면 퀄리티를 High 나 Medium 으로 해주면 정상으로 보이긴 한다.

그런데, 느리다. 참고 쓸만한 정도가 아니다. 느리다. 못쓰겠다.

 

2. 더욱 문제인 것은 재부팅 하면 접속암호가 계속 바뀐다.

키인증 관련 문제인 듯 싶다.(https://askubuntu.com/questions/1396745/21-10-make-screen-share-password-permanent )

설정을 잘 못 했는지, 해결이 되지는 않는다.
이걸 해결해도 느려서 못 쓰겠다.

 

3. 그래서 고전적인(?) 방법으로 하기로 한다.

x11vnc 를 사용하기로 한다. https://blog.1day1.org/561 예전에 실패한 gdm3 (기본) 를 다시 시도해봤다.
이번에도 동일하다. 접속이 안된다. 그래서 다시 lightdm 으로 해결.

1804 버전 이후로는 저 문제는 해결이 안된다.(나중에 다시 시도해볼지는 모르겠지만...)
점점 우분투가 이상해(?)지는 부분이 있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ubuntu 22.04 로 업그레이드 후에 기존 autossh 로 설정해놓은 터널링이 안된다.
그래서 확인해보니. autossh 가 실패되었다.

더 확인해보니 ssh 로 접속이 안되고, 암호를 물어본다.

ssh -vvv 로 접속해서 메시지를 확인해봤다.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보인다.

ssh send_pubkey_test no mutual signature algorithm
or
sign_and_send_pubkey: no mutual signature supported

검색해 보니, 보안관련 이슈인듯 싶다.

일단 해결방안은 아래 링크로

https://transang.me/ssh-handshake-is-rejected-with-no-mutual-signature-algorithm-error/

https://confluence.atlassian.com/bitbucketserverkb/ssh-rsa-key-rejected-with-message-no-mutual-signature-algorithm-1026057701.html

위 방법중 임시방편? 으로 일단 해결해본다.

.ssh/config 에 접속설정을 추가한다.

Host server-nickname
        hostname servername.com
        User root
        Port 2222
        PubkeyAcceptedKeyTypes +ssh-rsa

추천하는 방법은 보안성에 좋은 key 를 재생성해서 사용하는 것 같다.
추후 시간내서 조치해야 겠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