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드리바를 다시 깔아봤습니다.

이번에는 한글설치가 가능한 시디로 설치를 했습니다.(구분되어 있는 줄도 모르고...)

설치는 우분투보다 훨씬 쉽네요.


다음에 데스크탑 밀어야 할때, 우분투에서 맨드리바로 갈아타봐야 겠습니다.

패키지저장소(미러?)가 좀 느린게 흠이긴 하지만(우분투 처럼 변경이 가능한가?)
아직까지는 그 점빼고는 인상적인 배포판이네요(경험한 것중)

맨드리바 패키지 미러하는 서버가 국내에 없는 듯 한데, 우분투처럼 변경이 가능하다면 , 맨드리바도 미러해주면 좋겠습니다.(다음,Daum - 부탁해요)

시스템 설정툴인가 그것도 Gnome, KDE 통합형식이라 일관적인게 좋네요.
한글화가 좀 덜 된 부분이 있지만,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네요.


데스크탑 리눅스의 3파전?
우분투 / 오픈수세 / 맨드리바.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맨드리바를 설치해 봤다.
꽤나 인상적이다.  KDE4 를 데스크탑으로 쓰는 버전(2009 ?)을 설치했다.
설치가 무척쉽다.

패키지 업데이트도 직관적이다.

근데, 아쉬움.  한글이 기본지원은 안되는 듯 하다.
설치시에도 한국어는 없다.

따로 SCIM 등의 패키지, 폰트설치 등을 찾아서 할 수 있겠지만, 굳이 그러고 싶지는 않다.
(FF 에서 한글이 보이긴 하는데, 폰트는 설치되어 있나?)

인상적이지만, 아쉬움이 남는다.


ps. 블로깅을 해보니, 한글이 되는 것 같은데, 왜 안될까?(메뉴등도 한글로 나오네)
  뭔가 잘 못 설치했나?

좀더 찾아보니, korea 버전은 별도로 있었다.
를 보면.
mandriva-linux-one-2009-GNOME-afro-asia-cdrom-i586.iso mandriva-linux-one-2009-KDE4-afro-asia-cdrom-i586.iso -------------------------------------------------------- Arabic (ar) Hebrew (he) Hindi (hi) Indonesian (id) Korean (ko) Malay (ms) Zulu (zu)
처럼 별도로 있다.
에서 다운받아서 다시 해봐야 겠다. (중국쪽 라인도 빠르군.)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음 오늘 보니, 바뀌었군. 언제 바뀐거지?


암튼 심플해진게 좀 이상하면서도 마음에 든다.
이상할 정도로 심플하다.(포털에서 그러기가 참 힘들거든)

어찌되었던 쉽게 묻혀버리는 글들이 잘 보이고, 글들이 많이 읽혀졌으면 한다.

근데, 섹션을 나누어 놓았는데, 그 특색을 살리면 좋을 듯 하다.
시사,문화 이외의 섹션은 구색갖추기인가?
올블같은 IT집중(?) 메타와의 연계같은 것은 어떨까?

나 같은 경우는 포털뉴스를 북마크 하지 않고, IT쪽을 북마크해놓는다.
그런데, 블로거뉴스는 그렇게 하기에는 너무 볼거리가 없다.
IT섹션만의 특색이 있으면 좋겠다.

글보기 편해졌다는 것은 좋다.

아무튼 좋은 방향으로 변화하길...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ubuntu dapper 버전을 쓰는 백업머신의  유선랜대신에 무선랜으로 바꾸기로 했다.
백업머신이라 랜선을 길게 처리하기 애매해서 무선랜이 필요했다.

무선랜은 iptime G054P 라는 PCI 형태의 무선랜.
알아보니 칩셋은 ralink 사의 rt61 이라는 것을 쓰나보다.

[무선랜 드라이버 설치/설정]
관련 드라이버는
http://www.ralinktech.com/ralink/Home/Support/Linux.html
에서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ralink 사의 다른 칩셋도 있다)

설치는 쉽다.
다운로드 한 파일을 압축풀고, # make ; make install 하면 끝.
# make install 하면
/lib/module/{자신의 커널}/extra/rt61.ko 으로 설치가 된다.

# modinfo rt61 를 해보면 모듈정보를 볼 수 있다.
# lsmod | grep rt61  했을때 무선랜 모듈이 올라가 있는지 확인한다.

# cat /etc/modprobe.d/rt61d  (rt61d 는 임의의 파일)
내용에 alias ra0 rt61  를 넣는다. (설정시 영향을 주는지는 정확히 확인해 보지는 않았다)


[무선랜 설정]
http://ph.ubuntuforums.com/showthread.php?t=132980
에서 처럼  꼭  /etc/Wireless/RT61STA/rt61sta.dat  의 파일을 설정할 필요는 없는 듯 하다.
우분투의 NIC 설정인 /etc/network/interfaces 의 설정만으로도 가능하다.

무선랜 인증방식은 자신에 맞는 설정으로 한다.
WPA 방식은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419709 를 참조.

난 보통의 WEP 방식으로 처리했다.(보안방식은 WPA 방식이 더 낫다고 한다)

# vi /etc/network/interfaces
iface ra0 inet dhcp
        pre-up ifconfig ra0 up
        pre-up iwpriv ra0 set NetworkType=Infra
        pre-up iwpriv ra0 set AuthMode=SHARED
        pre-up iwpriv ra0 set EncrypType=WEP
        pre-up iwpriv ra0 set DefaultKeyID=1
        pre-up iwpriv ra0 set Key1="자신의 WEP 암호"
        pre-up iwpriv ra0 set SSID=무선랜SSID
auto ra0
공유기에서 dhclient 로 IP 를 자동으로 할당받는 방식이다.
저렇게 설정한후에  # ifup ra0  또는 # ifdown ra0  로 무선랜을 연결,해제하면 된다.







ps. # 이 붙은 것은  shell 명령이라는 뜻이다.
 ubuntu dapper 버전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다른 버전에서는 옵션값이 틀릴 수도 있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그동안 우분투를 주력으로 써왔다.
데스크탑, 서버까지(서버는 Centos 를 쳐주지만...) 우분투로 밀고 있다.

그런데, 너무 하나에 치우치는 것 같아. 다른 배포판도 써보기로 했다.
Centos , OpenSuse , Fedora 등등..

그동안 더 쉬워졌다. 설치는 이제 그냥 클릭클릭이면 끝(예전에도 그랬지만...)
설치후에도 별 다른 설정없이 바로 사용가능하다.
다들 패키지관리자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쓰면 그만이다.

진짜 쉬워졌다. 설치시간도 빠르다. 몇십분내에 다 끝난다.

또한 이들에게 감사한다.
빠른 저장소로 시간을 줄여준다.


겸사겸사해서 DistroWatch 에 가보니, 눈에 띄는 놈들이 있다.

한번 깔아봐야 겠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