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미니를 사용하고 있다. 거의 항상 켜두고 있는데, 사파리도 항상 켜두고 있다.

그러다가 며칠지나다보면 어느순간 사파리가 먹통이 된다.
- 강제종료 하고 다시 실행시켜도 반응이 없다.

프로세스를 찾아보면 북마크관련이 보인다.

자세히보면 왠지 메모리 사용량이 많다.(가상메모리크기 부분이 큰게 좀 찜찜하다) - 해당 프로세스를 직접 종료해봐도 마찬가지 이다.

 

구글 검색해보면, iCloud 쪽 설정을 언급해서 관련 부분도 만져봤다.

사파리 부분을 체크도 해보고, 체크해제도 해봐도 크게 다르지는 않다.

위 처럼 - 세팅값이 보여야 하는데, 로딩이 계속 지연되고 있다.

 

 

[경과]

해당 현상은 재시작(재부팅) 해보면, 해결이 되기는 한다.
재부팅하지 않고, 해결하는 방법은 아직 찾지 못했다.

 

[예상]

위 iCloud 설정 부분에서 iColud 접속이 이상한것이 아닌가 예상이 든다.

iCloud 이상 => safari bookmark sync 프로세스 이상 => 사파리 이상

이런 과정의 현상이 아닐까 한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비트코인이 최근 전고점(2만달러)를 넘어, 3만달러, 이제 4만달러를 향해 가고 있다.
(2017년도와 비교하면 사뭇 다른 느낌이다. 좋은면 / 나쁜면 둘다)

또한 아직은 개인투자자들은 의심의 눈초리가 더 심하다.

난 전업투자자는 아니다. 좀더 편한 투자를 찾아보는 소액 투자자이다.

넘치는 유동성으로 인해 부동산 을 지나 주식, 비트코인에 몰리고 있다.
난 주식은 거의 안해서(거래 할 줄아는 정도) 그 느낌을 모르겠지만, 주식도 사상최고점을 갱신하고 있다.

비트코인도 마찬가지로 주식보다는 못하지만(자금유입관점), 유동성이 조금씩 들어오고 있다.

2021년도까지는 이 상승세는 어느정도 유지(큰 변동성은 있겠지만) 될 듯 싶다.
기관들이 들어오고, 각국 정부들도 규제(제도권 진입) 하는 분위기. 즉, 시장으로 인정받고 있다는 의미.

이 글을 쓰는 것은 그런 전망을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여러가지 투자하는 방식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이다.
( 지난번에 '헤이비트' 라는 일임-자동투자 방식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다)

주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여러가지 부르는 명칭이 있다.
퀀트 투자 / 시스템트레이딩 / 터틀트레이딩 - 세부적으로 차이는 있겠지만, 기본적인 개념(목표)는 비슷할 듯 하다.
난 전문가는 아니라, 각각은 검색해서 찾아보길 추천한다.

좀더 요약해서 말해보면, 정량화한 규칙(전략)을 통해 매매를 하여 수익을 내는 것이다.
그 전략들은 여러가지고 있다. 각 전략들은 또 여러가지 지표들을 활용해서 만들어진다.

나도 하나씩 배우고 있는 중이다. 좀더 개념이 머리속에 들어오면, 하나둘씩 정리할 수도 있겠다.(장담은 못함)

그럼 어떻게 시작을 하는가? 매매전략 이기 때문에 매매를 할 수 있는 거래소를 정해야 한다.
업비트, 빗썸 같은 현물거래소도 좋다. 그러나 다양한 전략을 사용할 수 있는 선물(마진)거래소가 더 좋을 듯 하다.
거래량이 많은 거래소인 바이낸스 , 바이빗 을 추천한다. (비트맥스는 요즘 하향세인 듯 하다)

전략투자에는 바이빗이 좀더 나은 듯 하다.(바이낸스는 현물+선물 같이 하여 좀더 유용성이 있다. 그건 본인의 선택)

바이빗은 가입시 지원금 같은 것을 줘서, 테스트 거래를 해볼 수 있어서 좋다.(가끔씩 혜자 이벤트도 한다.)

위 링크 가입하면 지원금을 준다.

 

6개월정도 가상화폐 투자를 정리해보고, 수익 100% 기념으로 한번 글을 써봤다. (작년 7월경부터 시작, 본격적으로는 11월경부터)

시스템투자 + 자동투자 + 직접거래 + 비트-존버-차액 등 여러가지가 혼합된 것이다.(아직 초보라, 비트 존버 수익이 가장 크다.)
(환율 손실분이 있어서, 환율 손실 분 회복하면 수익은 더 올라간다)

큰 욕심 부리지 않고, 도박성 매매를 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투자를 하는 것이 목표이다.

선물거래소는 상승장을 지나, 하락장이 올 때도 선물매매로 시스템 투자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투자기간이 길지 않아, 아직 하락장에서 매매경험은 거의 없어서, 시행착오를 겪을 듯 하지만, 소액으로 해보면 되니까 큰 문제를 없을 듯 하다.

[주의사항]

혹시 위 링크로 바이빗 가입하시는 분들은, 거래소 사용법을 익히고, 쉬운 시스템투자 부터 하나씩 익혀나가길 바란다.
욕심 부리지 말고(고배마진 하지 말고), 저배마진으로 매매하길 바랍니다.
소액시드로 어느정도 감을 잡았다면, 시드를 조금씩 늘려가면서 매매하길 바랍니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마운트된 장치(하드등) 를 umount 하려고 할때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올때가 있다.

# umount work
umount: /data/work: target is busy
        (In some cases useful info about processes that
         use the device is found by lsof(8) or fuser(1).)

장치가 사용중이라는 의미겠다.

다음처럼 lsof 로 확인해보면, 보통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온다.

# lsof /data/work

COMMAND  PID   USER   FD   TYPE DEVICE SIZE/OFF    NODE NAME
bash    3639   root  cwd    DIR   8,49        0 4587521 /data/work/job (deleted)

또는

COMMAND  PID   USER   FD   TYPE DEVICE SIZE/OFF NODE NAME
bash    3639   root  cwd    DIR   8,49     4096    2 /data/work

콘솔로 해당 디렉토리에 접근해 있는 경우이다. 로컬에서 그럴수도 있고, 원격접속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해당 job 을 찾아서 로그아웃 하거나 다른곳으로 이동하거나 하면 된다.

찾지 못하거나 모를 경우 해당 점유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할 수도 있다.(위 예시의 PID 3639 )
여러사용자가 사용하는 장비라면 더욱 찾지 못할 수도 있다.

kill 3639

딱히 권장하지는 않는다.

다시 umount 해보면 정상적으로 될 것이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주로 fdisk 로 하드 파티셔닝을 한다.

하드용량이 크면 parted 를 사용해야 한다.

# parted /dev/sde
GNU Parted 3.2
Using /dev/sde
Welcome to GNU Parted! Type 'help' to view a list of commands.
(parted) p                                                                
Model: WDC WD40 EZRZ-00GXCB0 (scsi)
Disk /dev/sde: 4001GB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B/4096B
Partition Table: msdos
Disk Flags: 

Number  Start  End  Size  Type  File system  Flags

(parted) mklabel gpt                                                      
Warning: The existing disk label on /dev/sde will be destroyed and all data on this disk will be
lost. Do you want to continue?
Yes/No? y                                                                 
(parted) p                                                                
Model: WDC WD40 EZRZ-00GXCB0 (scsi)
Disk /dev/sde: 4001GB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B/4096B
Partition Table: gpt
Disk Flags: 

Number  Start  End  Size  File system  Name  Flags

(parted) mkpart primary 0 4001GB                                          
Warning: The resulting partition is not properly aligned for best performance.
Ignore/Cancel? i                                                          
(parted) p                                                                
Model: WDC WD40 EZRZ-00GXCB0 (scsi)
Disk /dev/sde: 4001GB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B/4096B
Partition Table: gpt
Disk Flags: 

Number  Start   End     Size    File system  Name     Flags
 1      17.4kB  4001GB  4001GB               primary

(parted) q                                                                
Information: You may need to update /etc/fstab.

주요명령어를 요약하면

# parted /dev/sde

(parted) p                                                                

(parted) mklabel gpt                                                      

(parted) mkpart primary 0 4001GB                                          

(parted) q                                                                

파티션테이블을 gpt 모드로 바꾸고(mklabel), 파티셔닝하고(mkpart) , 끝.

구글링하기 귀찮아서 정리.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예전에 우분투에서 autossh 를 설정하는 법을 정리했었다.( blog.1day1.org/615 )

맥미니 도 같이 쓰고 있는데, 맥미니도 설정해보고자 한다.(그동안 딱히 사용할 일은 없었다.)

맥에서는 brew 로 autossh 를 설치한다.

brew install autossh

이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한다. 우분투의 systemd 와 비슷한 launchctl 을 사용한다.

다음과 같은 설정.( ooo.plist 파일은 임의로 만들면 된다. )

$ cat Library/LaunchAgents/org.1day1.macmini.plist

<?xml version="1.0" encoding="UTF-8"?>
<!DOCTYPE plist PUBLIC "-//Apple Computer//DTD PLIST 1.0//EN" "http://www.apple.com/DTDs/PropertyList-1.0.dtd">
<plist version="1.0">
<dict>
    <key>Label</key>
    	<string>1day1 org macmini</string>
    <key>KeepAlive</key>
    	<true/>
    <key>RunAtLoad</key>
    	<true/>
    <key>ProgramArguments</key>
    <array>
        <string>/usr/local/bin/autossh</string>
	<!-- autossh switches -->
        <string>-M</string>
        <string>0</string>
	<!-- ssh switches -->
        <string>-N</string>
        <string>-T</string>
	<string>-o</string>
	        <string>ControlMaster no</string>
	<string>-o</string>
        	<string>ServerAliveInterval 60</string>
	<string>-o</string>
        	<string>ServerAliveCountMax 3</string>
	<string>-p</string>
        	<string>2222</string>
	<string>-l</string>
        	<string>root</string>
	<string>-i</string>
        	<string>/Users/your-mac-user-name/.ssh/id_rsa</string>
	<string>-R</string>
        	<string>9191:127.0.0.1:5900</string>
	<string>-R</string>
        	<string>9122:127.0.0.1:22</string>
	<string>your-externel-server</string>
    </array>
</dict>
</plist>

-p 2222 -l root -i 비밀키 , your-externel-server  => 이 부분들은 본인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한다.

다음처럼 실행.

launchctl load -S Aqua Library/LaunchAgents/org.1day1.macmini.plist 

실행되어 있는지 확인.

$ launchctl list |grep 1day1
23391	0	1day1 org macmini

터널링 서버에 접속이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제 임의의 곳에서 맥미니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