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에서 squid3 설정.

- 설정은 간단하다.

- curl 을 이용해 해당 proxy 서버를 사용할때 주의점.

 

# 설치

apt-get install squid3 
또는
apt install squid

끝. 쉽다.

 

# 설정

/etc/squid3/squid.conf 을 설정 (다른 위치 : /etc/squid/squid.conf )

(원래 파일은 복사하고, 새로 생성한다)
  => 원래 파일을 주석제거하고 복사하고 싶을때

mv squid.conf squid.conf.old     # backup
cat squid.conf.old | egrep -v '^[[:space:]]*(#.*)?$' > squid.conf

acl SSL_ports port 443
acl Safe_ports port 80          # http
acl Safe_ports port 21          # ftp
acl Safe_ports port 443         # https
acl Safe_ports port 70          # gopher
acl Safe_ports port 210         # wais
acl Safe_ports port 1025-65535  # unregistered ports
acl Safe_ports port 280         # http-mgmt
acl Safe_ports port 488         # gss-http
acl Safe_ports port 591         # filemaker
acl Safe_ports port 777         # multiling http
acl CONNECT method CONNECT

 

# digest

auth_param digest program /usr/lib/squid3/digest_file_auth /etc/squid3/squid3.digest.passwd

auth_param digest realm proxy

acl sq_digest proxy_auth REQUIRED

http_access allow sq_digest

 

# basic

auth_param basic program /usr/lib/squid3/basic_ncsa_auth /etc/squid3/squid3.basic.passwd

auth_param basic realm proxy

acl sq_basic proxy_auth REQUIRED

http_access allow sq_basic

 

cache deny all

 

http_port 4128

 

#http_port 3128

coredump_dir /var/spool/squid3

 

refresh_pattern ^ftp:           1440    20%     10080
refresh_pattern ^gopher:        1440    0%      1440
refresh_pattern -i (/cgi-bin/|\?) 0     0%      0
refresh_pattern (Release|Packages(.gz)*)$      0       20%     2880
refresh_pattern .               0       20%     4320

 

진한 부분이 추가한 부분이다. 기본파일에는 http_access 관련 설정이 있는데 삭제했다.

 

# 포트 변경

그리고 추천하는 부분은 기본포트인 3128 을 다른 포트로 바꾸길 권장한다.
언제나 그렇듯이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다. (ssh 도 필수로 바꾸는 것이 좋다. 22 -> 다른 포트)

 

# 캐시 비활성화

cache deny all 

캐시를 비활성화 했는데, 필요하면 삭제 또는 주석처리한다.

 

# 인증 모드

인증 모드는 digest 와 basic 이 있는데 설정은 위와 같다. 동시에 써도 되는지는 모르겠다.

암호파일 생성은 htpasswd / htdigest 를 사용한다.

사용법은

htpasswd -c /etc/squid3/squid3.basic.passwd {username}

htdigest -c /etc/squid3/squid3.digest.passwd proxy {username}

암호화는 digest 방식을 추천한다.

 

모두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재시작해서 바뀐 설정을 적용한다.

service squid3 restart

 

 

 

# curl 에서는 다음처럼 사용한다. ( php 기준 설명 )

php curl 은 아쉽게도 digest 모드를 아직 지원안하는 듯 하다.

$proxyserv = '123.123.123.123:4128' ;
$proxyauth = 'username:password';

 

curl_setopt($ch, CURLOPT_PROXY, $proxyserv );

curl_setopt($ch, CURLOPT_PROXYUSERPWD, $proxyauth );
 

위와 같이 써준다.

curl_setopt($ch, CURLOPT_PROXYAUTH, CURLAUTH_DIGEST ); 

위 옵션이 되면 좋겠는데, 아쉽게도 현재는 안된다.( 현재는 CURLAUTH_BASIC , CURLAUTH_NTLM 만 지원)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sublime text 를 쓰던 환경을 그대로 복사하거나 옮길경우

1. 계정폴더의 .config/sublime_text_3 폴더를 그대로 복사하면 된다.

해당 폴더 자체를 dropbox 등으로 동기화를 해도 될 듯 하지만,
충돌 가능성이 있으니 일단 배제.

2. license 파일은 그대로 복사해도 안된다. 다시 키 입력해서 새로 생성한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그동안 digitalocean , linode , vultr 등을 주로 사용해왔다.

다른 가상서버 업체도 추가하기 위해 테스트 중이다.

기본조건은 다음과 같다.

1) 가격 저렴 ( 메모리 기준 512M = 5$ / 1G = 10$ 이하)
2) public IP 제공 (별도의 아이피)
3) 빠른 deploy (몇 분내에 배포가 되어야 한다)


# interserver

위 업체들보다는 사용이 좀 어려워보인다. 그래도 가격이 약 2$ (1G기준) 가량 저렴하다.

가입 : https://interserver.net/dock/vps-249279.html

가상서버는 시카고쪽 서버를 쓰는데, 속도도 괜찮은 듯 하다.
현재 KVM 의 8$ 짜리로 테스트 중이다. 1G 메모리


# mnx.io

UI 등이 최근 것 같다. ssh key 도 된다. 심플하다.
1G 10$ 로 가격대도 비슷하다.


# vpsie

테스트 중인 것중 제일 낫다. 가입도 간편하고.

가입 : https://my.vpsie.com/s/c3b6d839-246d-11e5-b45d-005056aadd24

지역도 - 뉴욕/버지니아/캘리포니아, 암스텔담 이 있다. 가격은 1G 8$ 로 괜찮다.

ssh key 등록이 가능해서 편하다.




[기타 관련글]

가상서버들 간단한 사용기 - 스마일서브 / 디지털오션 / 벌쳐(vultr) 등

괜찮은 VPS호스팅 발견 - vultr.com (20$ 프로모션)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리노드쪽 서버가 이상이 생긴듯 하다. Fremont 지역이 그렇다.

정전이란다. ㅜㅜ

Update - We have received word from our colocation provider that there has been a power event in a section of the Fremont datacenter. The affected space is where a critical part of the datacenter network is located. The datacenter's electric provider is working with staff to restore power as soon as possible. Please watch this status page for further updates.
May 30, 02:25 UTC
Identified - We are aware of an issue within our Fremont datacenter and are investigating at this time. We will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s it becomes available.
May 30, 01:47 UTC

미국지역도 안정적이 아닌듯 하네.

사고인지. 흠.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btrfs 를 쓰고 있는데, 뭔가 이상하다.

내가 잘못 쓰고 있는 것인지?

오늘 생긴일은 다음과 같다.

40G 정도 되는 파일을 원격지에서 전송받는 것이었다.

btrfs 를 쓰고있는 파티션이 80G 정도 남아있어서 괜찮겠다 싶어 전송하였다.

그런데, 30기가 정도 받고 나니 시스템이 다운된다.

이유가 뭘까?

혹시나 네트웍디바이스가 무리가 간것인가 다시 해봐도 동일현상.

그냥 ext4 의 다른 파티션으로 해보니 정상적이다.

btrfs 의 뭔가 특성이 있는 것인가?

커널로그를 살펴봤다.

 BTRFS error (device dm-6): block group 117604089856 has wrong amount of free space
 BTRFS error (device dm-6): failed to load free space cache for block group 117604089856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눈에 띈다.

df 로 확인한 용량과 BTRFS 의 용량계산은 차이가 있는 것인가?



아직 잘 모르겠다.

docker 쪽이 btrfs 를 쓰는듯 한데, 특성을 찾아봐야 겠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