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 vmware 로 세팅되어 사용중이던 windows xp 를 다른 호스트머신 으로 옮기려고 한다.

그런데, vmware player 가 설치가 안된다. (windows 10 의 문제인지?)
계속 알아볼까 하다가, 그냥 virtualbox 로 옮기기로 해본다. (요즘 PC 성능이 좋아져 vm 의 성능차이가 없을 듯 하여)

예전(몇년전)에 virtualbox 를 vmware 로 해봤을때는 잘 안되었는데, 그 반대를 해보려는것.

결론은 잘 이전 된다.

그 설명을 정리해본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우분투 업그레이드를 했다. (간만에)

버전은 4.4.0-143-generic

Virtualbox 가  커널이 바뀌어서 모듈을 재 컴파일 해야 한다.

# sudo /sbin/rcvboxdrv setup

Stopping VirtualBox kernel modules ...done.

Uninstalling old VirtualBox DKMS kernel modules ...done.

Trying to register the VirtualBox kernel modules using DKMSERROR: Cannot create report: [Errno 17] File exists: '/var/crash/virtualbox-5.0.0.crash'

Error! Bad return status for module build on kernel: 4.4.0-143-generic (x86_64)

Consult /var/lib/dkms/vboxhost/5.0.40/build/make.log for more information.

 ...failed!

  (Failed, trying without DKMS)

Recompiling VirtualBox kernel modules ...failed!

  (Look at /var/log/vbox-install.log to find out what went wrong)

에러가 난다.  Virtualbox 특정 버전만 그런것인가? ( 5.0.40 )


일단 커널 버전을 내렸다. 4.4.0-143 은 걸러야 겠다.


ps. 다른 서버 4.4.0-142 버전은 괜찮은 것 같다.

필요하면 설치

apt-get install linux-image-4.4.0-142-generic


[추가 - 03/21]

새버전 4.4.0-144 버전이 올라와서 해보니, 동일 이슈.


[추가-04/11]

새버전 4.4.0-146 까지도 나왔는데, 동일

virtualbox-5.2 / virtualbox-6.0 도 해봐도 에러.

https://askubuntu.com/questions/1126721/4-4-0-143-generic-upgrade-16-04-vmware-no-loger-working/1126950

=> 모듈 소스를 수정해서 조치를 해야할 듯 하다. (아직 안 해봄)  => 이건 vmware 기준 소스 수정


[추가-04/16]

virtualbox 의 vboxdrv 쪽의 소스를 수정하는 방법

virtualbox 6.0.4 를 기준으로 설명 ( 커널 버전은 4.4.0-146 으로 설명)

참조 - /usr/src/linux-headers-4.4.0-146-generic/include/linux/mm.h 의 get_user_pages 의 인수가 다른 문제

vboxdrv 의 소스를 수정해준다.

/usr/src/vboxhost-6.0.4/vboxdrv/r0drv/linux/memobj-r0drv-linux.c 에서 get_users_pages 부분을 수정해주면 된다.

1122                                 /*fWrite,*/                 /* Write to memory. */

virtualbox 버전에 따라 소스 라인 위치는 다를 수 있다.


수정 후  /sbin/vboxconfig  로 다시 모듈을 만들어 준다.

정상 동작까지는 확인 했는데, 이 방법은 위험성이 있으니, 사용하면서 이상현상이 있으면 추가로 글을 남기도록 한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맥에서 npm (node) 를 어떤 방법으로 설치하는게 좋은가?

보통 homebrew , nvm 을 주로 쓰는 듯 하다.

맥용 기본 패키지 매니저 같은 것은 없나? ( 우분투의 apt 같은 ..)


https://nodejs.org/ 에서 다운로드해서 설치해도 되는듯 하다.


# 일단 nvm 을 시도해본다.

1. 설치 : https://github.com/creationix/nvm

2.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creationix/nvm/v0.33.11/install.sh | bash

3. 위 명령으로 설치하려고 하니 git 이 없다고 한다. xcode 설치하겠는지 물어본다. (일단 설치 진행.)

4. 다시 위 명령으로 실행. 설치OK. 터미널을 재실행해 보면 된다. (nvm --version 체크)


# node(npm) 을 설치한다.

1. nvm install node   ( nvm install stable 도 동일한 듯 하다)

2. npm install -g @vue/cli  => 최종 하려던 것 - 잘 설치된다.


# vue cli 3 버전 특징.

vue cli ui 를 지원한다. 

$ vue ui  

위 명령을 내리면 브라우저가 뜨면서 설정을 UI 로 할 수 있다. ( 기존  명령창에서 하던 것을 브라우저로 가능)
> 참조 : https://medium.com/@changjoopark/vue-cli-ui-%EC%82%AC%EC%9A%A9%ED%95%98%EA%B8%B0-9ef31fea4f40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일본 아마존 상품을 체크중이다.



쓸만한, 뽐뿌 가 될만한 제품을 블로그에 올릴 생각이다.




affiliate 가입을 해보는데, 계속 잘린다.

왜 그럴까? 


개인블로그라서 그런가?

좀더 체크해서, 원인을 찾아봐야 겠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딱히 돈이 남아돌아서 투자를 알아본 것은 아니었다.

P2P 투자도 그렇고, 암호화폐 투자도 그렇고 요즘 어떻게 돌아가는지 개념을 알아보자는 차원이었다.

(일단 뭐 투자할 돈이 없어서 ㅜㅜ )


[암호화폐 투자]

예전 10여년전이던가 아니 더 되었던가. 주식을 소액투자 해봤던 적이 있다.

요즘 가상화폐(암호화폐) 소액투자를 해보면서 비슷한 감정(?)을 느낀다.

신경이 많이 쓰이는 투자방법이다.  나에겐 좀 안 맞는다.(심장이 쫄깃해진다. 오래 못산다.)

그냥 적금처럼 넣어놓고 신경 안 쓰면 좋겠는데, 물론 그런식으로 할 수 있지만 맘이 그렇게 하기 쉽지 않다.


투자방식도 다양각색 - 업비트, 바이낸스 등 거래소등을 활용한 트레이딩.

POW, POS 등의 채굴을 통한 코인 획득.

블록체인 기반 사업을 위한 초기자본 모집하는 ICO 방식.


나는 암호화폐 트레이딩 보다는 주로 블록체인의 기술적인 관점에서 파악을 해보려고 하고 있다.

그래서 비트코인은 크게 관심이 없다. 블록체인 2세대(?)에 속하는 이더리움 , 네오 , 퀀텀 같은 플랫폼형 코인에 관심이 간다.

그래서 관련 플랫폼을 활용한 ICO 도 몇번 해봤다.(물론 소액)

이익보면 좋고, 안 되도 뭐... (속이 쓰리긴 하겠지만)


[P2P 투자]

가상화폐 투자보다는 좀더 안정(?)적인 방식은 P2P 투자인 듯 하다. 내 성향에도 딱 맞는 것 같다.

세팅 해놓고 신경 안 쓸수 있다.


여러 업체가 있겠지만, 써본 토스 와 렌딧이 마음에 든다.

토스는 원래 간편송금이 핵심인데, 부가(?)서비스로 부동산 소액투자, P2P투자(8퍼센트) 등이 있다. ( 펀드도 있는데, 내 성향이 아니라서 패스)

모바일 서비스 기반으로 투자 접근성이 편하다. 금액도 무리하지 않게 상한선이 있다.(투자 업체당 천만원)


렌딧도 P2P투자 인데, 토스의 8퍼센트 보다는 마음에 든다. ( 다만, 모바일 앱이 없는게 흠)

렛딧 추천코드 링크이다. ( https://goo.gl/tMaQ5F - 기승전 추천코드 )

추천코드 타고 가기 싫으면 그냥 https://lendit.co.kr 으로 가서 가입/투자 하시면 됩니다.


적금 넣는 대신 소액을 꾸준히 투자하기 좋은 것 같다. 수익률도 만족할 정도. (암호화폐 투자는 수익률은 좋지만 고위험)


투자시 고려할 것은 감당할 수 있는 범위내의 자금만 투입하라는 것.( 전부 없어도 지장이 없을정도 금액 )


3월 2일 추가 1)  2월 27일자로 투자금이 2천만원 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이쪽 계통으로 투자금이 몰리고 있다는 증거이려나? )

3월 2일 추가 2) 8퍼센트 쪽 웹버전도 괜찮다. 가입하면 토스쪽 투자내역을 세부적으로 볼 수 있다.  https://8percent.kr/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