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이런 메일이 왔다.  공식적인 네이버 메일인 줄 알았다.

네이버 피싱메일 예시

그래서, 메일 내용대로 스팸을 보냈다면,  메일 계정(암호)이 털렸나 생각했다.

암호 바꿔야지 생각하던차 자세히 보니 이상했다.
일단 보낸이 주소가 약간 이상하다.  navercorrp.com => r이 이상하게 하나더 들어가있다.

그렇다 피싱메일 인 것이다.

"아이디 보호해제" 로 들어가면 개인정보를 요구한다.(화면도 사칭화면이다.)

주소창의 주소가 다르다. naevear.com 이라는 사칭주소

피싱메일 은 이런식으로 공식계정을 사칭하는 경우가 많다. 순간 방심하다가는 당할 수 있다.

특히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경우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시스템 트레이딩을 시작하고(https://blog.1day1.org/637) 여러가지 전략들을 찾아보고 적용하고 있다.

가능한 여러개로 분산하려고 하는데, 이 방법이 수익률에 어느정도 긍정적일지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겠다.
(여러 전략 나누기 + 시간대 나누기 )

드라마틱 한 수익이 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인내심이 필요하다.

비트코인 이외에 이더리움/리플 도 전략을 추가해봤다.
자금은 여러 전략/시간대 로 분산해서 특정전략에서 손실이 나도 다른 전략이 손실을 상쇄해주기도 한다.
물론 손실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내가 감당할 수 있는 손실금을 계산해서, 포지션 물량을 정해서 투입한다.

추세가 시작되면, 시스템트레이딩이 빛을 발휘할지 기대반 / 우려반 이다.
과연 이 실험의 결과는 어떻게 될까?

 

혹시 이런 방식을 시도해보고자 하시면, 본인의 투자자금 전체를 하지는 마시기 바랍니다.
(즉, 전체 자산시장 관점 + 현금 비중등 자산은 잘 분배하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국내주식 30% + 현금 30% + 달러(해외주식) 30% + 암호자산 10% 등 이런식.

암호자산에 몇 %를 넣을지 개인차가 있겠지만, 30%를 넘지 않는 선이 좋을 듯 싶다.(고위험 자산으로 봐야 한다.)

 

ps. 앞광고 - 바이비트 트레이딩 대회를 참여해보세요.(이미지 클릭)

WSOT 트레이딩 대회

 

바이비트 WSOT 트레이딩 대회에 저는 짧은 시간대의 전략으로 시스템트레이딩을 해볼 예정입니다.
(대체적으로 짧은 시간대 트레이딩 전략은 수익률이 썩 좋지는 않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지난 5월 하락장이 시작된 후 벌써 2개월이 지났다.( https://blog.1day1.org/635 )

그때 생각했던 시나리오중 2번째로 진행중인것 같다. 횡보중.
암튼 오를 듯 내릴 듯 투자자들을 피말리게 하고 있다.

난, 그 사이 시스템트레이딩을 자동화 하고 있었다.

기본 흐름은 다음과 같다.

트레이딩뷰 시스템 전략(알림/webhook) => 알림/전략실행/스위칭(프로그램) => 텔레그렘알림(모니터링)

10개정도의 전략을 나눠서 자동화 하고 있다

핵심은 트레이딩뷰에서 전략을 찾는 것이다. 좋은 전략을 여러개 찾고, 자금을 잘 나눠서 실행해야 한다.
나도 테스트 하느라 초반에 자금관리를 잘 못해서 20~30% 가량 손해본 듯 하다.

이제 전략을 10개정도 늘리고 나니 좀 안정화 된 듯 싶다. 자금관리가 또하나의 핵심이다.

자동화를 해놔서 신경이 덜 쓰여서 이제 시간을 좋은 전략을 찾는 것에 쓰고 있다.

보통 전략들이 추세추종이 많다보니, 지금처럼 횡보장에서는 마이너스 인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 추세가 나오고 시작하기에는 언제 추세가 나올지 모른다는 것이 함정이다.

모든 투자가 힘들겠지만, 시스템 트레이딩도 나름의 힘든요소가 있다.
전략과 자금관리 등을 잘 해서 시작해야 할 듯 하다. 나도 초반 시행착오로 자금 손실이 꽤 났다.

계속 돌려보고 새 전략들을 추가해보고, 나름 의미있는 성과가 있으면 다시 정리해보려고 한다.

과연 어떻게 될지...

 

ps. 횡보장이 빨리 끝나면 좋겠다. 곧 변화가 있으려나?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우분투에서 윈도우10 의 공유폴더가 마운트 되지 않는다.

# mount win10-share
mount error(112): Host is down
Refer to the mount.cifs(8) manual page (e.g. man mount.cifs)

위와 같은 메시지가 나오면서 연결이 안된다.

로그기록은 다음처럼 나온다.

 CIFS VFS: cifs_mount failed w/return code = -112

smbclient 로 연결해도 표시가 되지 않는다.

# smbclient -L win10-pc
WARNING: The "syslog" option is deprecated
Enter root's password: 
protocol negotiation failed: NT_STATUS_CONNECTION_RESET

윈도우10 에 삼바1 프로토콜이 기본 비활성화 되서 그런것이다.

실행 => appwiz.cpl 명령 실행  / 또는  설정 => 앱및기능 => 프로그램 및 기능

실행창 => 윈도우키+R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위 이미지의 SMB 1.0 관련 설정을 켜준다.

ps. 우분투 버전에 따라 기본 samba 2 를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기존 사용하던 컴에서 연결이 안된 경우이다.

 

[추가]
위 단계를 처리하고,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온다면, https://blog.1day1.org/602 를 참조.

mount error(127): Key has expired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비트코인이 폭락하였다. 고점 대비 50% 넘게 하락하였다.

고점대비 54% 하락하였다.

누군가는 무엇 때문에, 누구 때문인지 등을 찾고 있을 것이다. 여러가지 원인을 분석하려 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떨어질 때가 되어서 하락 한 것으로 본다. (물론 나도 상승 하길 바라고는 있었다.)

굳이 원인을 따지자면, 현재의 금융시장(주식, 원자재 등)이 불안한 것을 보여주는 듯 하다. 인플레이션 압박 / 금리인상 시사 등등..
그래서 투자자들 중 일부는 가장 위험자산인 비트코인의 비중을 줄여가는 과정일 수 있다.
반대로 인플레이션 우려로 원자재 급(변동성 측면)의 상승을 바라보고, 비트코인등 가상자산을 매집한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하락을 보는 사람과 상승을 바라보는 사람들 간의 손바뀜 과정이라고 볼수도 있을 듯 하다.

사실 나는 하락장을 몸에 느낄 정도로 경험하지 못했다.(그냥 지난 후에 하락장이었네 라는 느낌 - 2018,2019년은 그렇게 지나갔다.)
이번에는 나름 대비한다고 생각하고 일부 수익분 현금화 하고,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조치를 하긴 했다.
그래도 이번 하락으로 기존 수익분의 30% 가량을 반납하였다. 아직 확정은 아니지만, 계속 하락이 이어지면 수익/손실 확정을 해야한다. 그러면 수익분의 더 많이 반납해야 할 수 있다. 때로는 다음 상승장을 기다리며 존버할 지도...

지난번 디파이의 리스크에 대해 언급을 했었다.( https://blog.1day1.org/634 )

이번 하락장에 디파이 리스크로 인해 피해(청산)을 본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디파이는 예금/대출 을 할 수 있어, 큰 폭의 하락으로 인해 예금대비 대출비율을 높게 한 투자자들이 강제 청산을 당한 경우다.
물론 하락하면, 대출을 갚아서 청산을 대비할 수 있지만, 손을 쓰기전에 폭락하면 대응하지 못하고 청산당하는 것이다.

개인적인 바램으로는 이번 하락이 손바뀜이 되는 과정이길 바란다.
아마도 몇주 혹은 길게는 몇달이 걸릴 수 있다.

녹색 부분의 상단 채널로 올라가는 것이 중요할 듯 하다.

위 그림의 하단채널에서 어느 정도 횡보를 해주는 것이 조금이나마 상승여력이 있을 듯 하다. 바로 상단채널로 올라가면 좋겠지만, 그건 쉽지 않을 것이다.(대박 뉴스가 나오면 가능할 지도...)

하락이 계속되서 저 하단채널 밑으로 가면, 하락장은 아주 길어질 수 있다.(몇년을 다시 기다려야 한다.)

즉 시나리오를 정리해보면.

  1. 베스트 : 며칠내 바로 상단채널로 상승한다.
  2. 그래도 희망이 : 하단채널에서 횡보한다. (상승 가능성)
  3. 존버는 일상이지 : 하단채널도 깨고 그 밑으로 내려간다.

과연 어떻게 될까?

당연히 알 수 없다. 다만, 해당 시나리오가 되었을 때 내가 취할 행동을 정하고 실행하는 것이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