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NHN 에서 큐브리드를 인수한다는 소식이 있었다.
그 이전에도 NHN 서비스에 큐브리드를 사용하고, 적극 지원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던것 같다.
큐브리드가 '성능이 좋은가 보다' 라고 단순히 생각했었다.

그러다가, 아예 인수까지 하게 되었구나.
내부의 어떤 전략이 있는지 알수 없지만, 오픈소스화 이후까지 생각하고 있는 듯 하다.
dbms 엔진의 특성상 데이터 무결성이나 안정성 등 여러가지 까다로운 요구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어떤 기술들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영어의 부담 없이 직접 한국어로 소통할 수 있겠고요. (인용 kldp)
오픈소스화는 시간이 흐른후에 좋은 영향을 줄 것은 분명할 듯 하다.
그런데, 무명(?)의 DB 를 오픈소스화해서 당장 이득을 주지는 않을 것이다.
NHN 이 그동안 이익극대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인상을 조금 누그러트려줄까?

아무튼 선택권이 많아진다는 것은 사용자에게 득이 될 것은 분명하다.
게다가 mysql , pgsql 등의 기존의 오픈소스 DB 와의 경쟁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더군다나, 국내업체이기에 그 지원(개발,서비스)은 국내개발자,사용자 측면에서 타 오픈소스DB 보다 우월한 위치에 있을 듯 싶다.
사용자를 얼마나 빠른 시일내에 확보할 수 있느냐가 문제겠지만, 어느정도의 사용자를 확보한다면 NHN 이라는 이름이 시너지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그점에서 mysql 보다 국내에서는 이점이 될 듯 하다.

그동안 오라클, MS-SQL 이라는 이름에 mysql 은 명함내밀기 어려웠다는 것을 영업(?)해본 사람들은 잘 알것이다. 물론 mysql 을 썬이 인수를 해서 Sun 의 이름덕을 보겠지만, 아직은 국내에서는 미흡할 듯 싶다. NHN vs Sun.

아직 갈길이 멀지만, 큐브리드가 NHN 의 지원을 힘입어 발전하길 바란다.
(자료가 부족해요...)


근데, NHN 의 오픈소스 정책을 어느정도 까지 생각하고 있을까?
오픈소스 인큐베이터 같은 것도 만들려나?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사전포석?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http://akrabat.com/zend-framework-tutorial 의 예제.
(설명은 PDF 로 되어 있다. 예제도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다)

zend 공식사이트의 예제는 sqlite 를 사용하는데, 이번 예제는 mysql 을 사용한다.

application/config.ini  파일을 자신의 mysql 계정에 맞게 바꾼다.
기본 데이터(dbschema.sql) 를 넣으면 준비완료.
(데이터를 금방넣기 위해 따로 ini_script.bat 를 만들었다)
간단한 배치파일. 내용은 

C:\develop\xampp\mysql\bin\mysql test -u root < dbschema.sql
pause

-u root , mysql 의 위치는 자신의 설정에 맞게 바꾸어 준다.
-p 옵션이 필요하면 같이 넣는다.(DB 계정에 암호가 있는 경우)


내용은 zend 의 quickstart 와 같이 평이한 수준.
세부적인 것은 좀더 찾아봐야 겠다.
흐름에 대한 감은 대충 잡힌듯.(그럼 어플 만들어봐!! ^^)



다음에는 뭐하지?
아마도, 로그인 부분 하고, Zend_ACL 처리하는 부분. (따로 혹은 같이)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젠드프레임웍을 사용하기 위한 개발환경 구축시 xampp 의 설정중 몇가지 바꿔줄 부분
목적은 ZF 개발환경(zend studio IDE 와 xampp 서버를 사용)

1. xampp 는 여기서 다운로드

2. 설치후에 zend studio 의 workspace 프로젝트로 버쳘호스트 설정해준다.

zend framework 예시는 http://framework.zend.com/docs/quickstart  를 사용했음.
workspace/quickstart/public 을 
xampp/apache/conf/extra/httpd-vhosts.conf 에 virtualhost 설정한다.
<VirtualHost *:80>
    ServerAdmin webmaster@test.com
    DocumentRoot "C:/workspace/quickstart/public"
    ServerName test.com
    ErrorLog logs/dummy-test.com-error.log
    CustomLog logs/dummy-test.com-access.log common

<Directory "C:/workspace/quickstart/public">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Includes ExecCGI
    AllowOverride All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VirtualHost>
rewrite 모듈이 로드되었는지 확인.
LoadModule rewrite_module modules/mod_rewrite.so  의 주석을 해제.

<Directory ...   부분을 해줘야 정상적으로 http://localhost 로 확인할 수 있다.

3. quickstart 예제 가 PDO sqlite 를 사용한다.(필요시 설정)
php.ini 에서 
extension=php_pdo_sqlite.dll
부분을 주석해제해 준다.
여기서 php.ini 파일은  phpinfo 해서 나오는 위치의 파일이다.
즉, xampp/php/php.ini 이 아니라  xampp/apache/bin/php.ini  파일을 고쳐주어야 한다.
( xampp/php/php.ini 은 php CLI 버전이다 )

일단 여기까지 하면 zend studio 에서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진다.
zend studio 에서 ZF 프로젝트 생성하면  public 이 아닌 html 을 기본값으로 생성한다.
(이 부분은 각자 알아서 조정)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누구나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대단한 기업.

MS 와 구글.

MS 의 20주년.
http://www.dal.kr/blog/001815.html

구글의 10주년.
http://www.dal.kr/blog/001816.html

그러고 보니, 10년 간격이네.

그렇다면 올해 또 다른 대단한 기업이 탄생했을까?
지난 10년전 MS 가 10주년이 되던 그해 구글이 탄생했다.
그 당시에는 구글이 지금처럼 대단한 기업이 될 것을 예상했을까?

아무튼 또 다른 대단한 기업이 탄생했을지 잘 살펴봐야 겠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노트북에 대한 고민이다.

20만원 - 고장난 노트북 수리하는데(LCD교체) 20만원이 든단다.
  2년넘은 노트북 중고로 내놔도 얼마 못 받을텐데. 부품 따로 팔기도 그렇고..
  더 문제는 LCD 만 교체하면 끝일까 라는 것. 분명 다른 곳에서도 문제가 터져 나오겠지?

60만원 - 이참에 끌리는 넷북을 구매할까?
  성능이 지금 노트북보다 못하다는게 살짝 불만.
  좀더 기다려 성능 괜찮은 놈 나오면 그때?  아톰 듀얼도 나온다고 하던데...

120만원 - 아예. 맥북을 사버릴까?
  제일 싼놈으로다가? 근데, 왠지 돈 먹는 하마에 물리는 꼴이 되지 않을까 살짝 불안.
  애플이 마음에 안들어서 걱정.

고민은 언제까지? ㅡㅡ;;

그냥 싼놈으로다 일반 노트북이 나으려나?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