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모임을 지원하고 싶다면 어떤 점을 지원해 주는 것이 좋을까?
개발자 커뮤니티에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금전지원? 서버등의 물적지원?   무엇일까?

개발자들이 모이는 워크샵,컨퍼런스 등에 지원하는 것이 가장 좋아보인다.
다음 DevDay : http://dna.daum.net/devday
각종 언어별 워크샵/컨퍼런스 :
  예) http://agile.egloos.com/4538251(altlang.org 는?) , http://event.perl.kr/kpw2008

(출처:http://kldp.org/node/96854)


저런 모임들이 많아지는 것이 최종목표일 것이다.
근데, '개발,IT,공대,이공계' 이런 것들에 대한 관심이 현저히 떨어진 이 한국사회.
사람이 있어야 저런 모임을 많이 하지. 그것이 문제다.
그 최종목표에 도달하는 것이 정말 어렵게 느껴진다.

각종 개발자 커뮤니티에서도 그런 고민은 항상 이슈가 된다.
http://kldp.org/node/96826  이글을 보면 그 방향이 보인다.
그럼 실질적인 행동으로 어떤 것이 가능할까?

포털의 오픈소스,개발자 지원이 그런 쪽으로도 지원했으면 한다.
즉, 홍보부대가 되어 주면 좋겠는데, 이런 방법은 어떨까?

보기좋은(먹고싶은) 떡, 보고싶은 자료, 유용한 자료.
일명 홍보꺼리를 만들자.
이번 모임에 경품도 많구요. 재미있는 이벤트도 많답니다. 이런거 이제 좀 식상하다.

저런 워크샵, 컨퍼런스 들은 일종의 강의형태로 자료정리가 가능할 듯 하다.
짧게 20-30분가량을 녹화해서 동영상을 만들어 공개를 하면, 상당한 자료가 축적될 것이다.
오프라인 워크샵의 참여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주최측도 무한정 인원을 감당할 수도 없다.
워크샵,컨퍼런스의 그 유용한 자료(?)를 그냥 사라지게 만드는 것 같아 보면서 항상 안타까웠다.
대부분은 끝난후의 후기정도로 끝이 난다. 행사사진, 느낀점등이 거의 전부다.
물론 이런 형태로 자료를 정리하는 분도 있지만, 개인이 하기는 무리가 있다.
그리고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포털들이 오픈소스/개발자에 저런 자료정리 지원을 한다면, 정말 많은 도움이 될 듯 하다.
자료를 모으다 보면, http://blog.1day1.org/9  처럼 일련의 주제를 가진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문서(ppt,마인드맵) + 동영상 은 정말 환상의 궁합이 된다. 이중에 동영상 부분을 포털쪽에서 도움을 주면 충분히 자료모으기가 가능할 듯 하다.

포털 개발자 지원(?)연합이라도 만들어, 동영상 제작/편집 등을 담당해주면, 단순한 물적지원이상의 효과를 낼 듯 싶다.(동영상쪽은 개인이 하기에는 정말 힘들다.)
포털들의 지원 의도가 단순 개발자에 대한 홍보(이미지,마케팅)효과만을 노린다면 저런 것들은 성가신다고 생각하겠지만, 진정으로 도움을 주고자 한다면 한번 고려해볼만하지 않을까?

다음,네이버 연합으로 OpenAPI 연합 행사같은 것도 하던거 같은데, 위의 협력같은 것도 충분히 가능할 듯 싶은데, 내가 모르는 어려움이 많은가?

워크샵,컨퍼런스 등의 유용한 자료들을 그냥 보내기 아까워요.
포털 지원을 동영상,자료 정리에도 도움을 주세요.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http://boowoon.egloos.com/2011412

142857

자세한 사항은 위 링크로...
반응형

'즐거운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obe AIR 와 me2day  (0) 2008.08.22
애자일방법론과 팀장의 역할  (0) 2008.08.14
얼랭 시작 - 링크  (0) 2008.08.08
엔서(Enswer) 정말 좋다.  (0) 2008.08.06
온라인방송? 컨텐츠방송? 뭐라고 불러야 하지?  (3) 2008.08.02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블로그의 열기가 식은 것 같습니다.(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느낌)
양적으로는 늘어난 것처럼 보입니다.(실제로도 늘었겠죠?)
올블로그, 블로거뉴스 등을 보면 올라오는 글의 블로그들을 보면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느낌뿐아니라, 통계적으로도 정체되었다고 하네요.
http://multiwriter.tistory.com/237
글 내용을 일본의 게임산업에 비유해서 설명하는데, 잘 해석하신 것 같습니다.

제가 그냥 느끼는 것은  '볼게 없네!' 라는 것입니다.
이슈성 글들은 참 많습니다. 아니! 폭발할 지경입니다.
그런데, 그 뿐입니다. 이슈는 금방 타올랐다가 사라집니다.
한국사람이 냄비네 뭐네 하는 것도 저런 이슈성 사건에 열올리기 때문이라 생각되요.
꼭 한국사람뿐아니라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죠.

위 블로그에서 해법(?)으로 제시한 컨텐츠.
그것이 정답이라고 생각됩니다. 읽을 거리를 줘야, 다시 찾아오는 것이겠죠.
꼭 블로그만의 해법은 아니지만, 지금의 블로그(블로고스피어?) 는 변화할 때라고 봅니다.

올블로그 안 간지 꽤 오래되었습니다.
이슈성글이 덮고 있어서, 읽을 만한 글을 찾기 위해 머무는 시간이 꽤 짧아졌습니다.
다른 메타블로그 사이트들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언급한 블로거뉴스의 '창작,연재' 코너는 시도는 좋지만, 다른 코너와 별다른 차별성이 없어 눈에 잘 띄지 않습니다.
지금은 각 코너가 평면적으로 추천수,조회수 같은 것으로 나열하는데, 그런 부분은 시사쪽에나 어울리는 것이라고 봅니다.
창작,연재 / 책이야기 / 여행 / 요리,맛집   같은 컨텐츠가 들어가기 좋은 코너들은 지금의 구조를 벗어나야 한다고 봅니다.

조만간 블로거뉴스가 이름도 바꾸면서 뭔가 변화를 꽤할 듯 한데, 그런 점이 반영되면 좋겠습니다.
읽을 거리를 주세요.
정확히 말하면 읽을거리를 잘 차려주세요.  가 되겠네요.


ps. 추가 : 블로거뉴스 개편이 단순한 채널변화인가? 내가 생각했던 것 과는 차이가 있군.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os-php-future/
읽어보면 좋은 내용.

현재는 php5 가 나와있는 상태. php6 는 개발버전.
그런데, 여전히 웹호스팅에서는 php4 버전을 주로 사용한다.
php5 로의 이전은 그리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에도, php4 에서 업그레이드하길 꺼려하는 것 같다.

php6 는 더 험난(?)할 듯.
보안상 문제시 되는 것들은 아예 없애는 방법을 썼다. 환영! 환영!

개발버전을 써 봐야 겠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2008-08-08 , 888  중국사람들이 8 자를 좋아한다고 했던가?
그래서 날짜를 저렇게 맞추었을까?

그런데, 난 올림픽으로 기억하지 못할 것 같다.
오늘은 치욕의 날이다.(http://minoci.net/572)

좀 심하다. 너무 노골적이다.
삼성하드 처럼 너무 직설적이다.

정치적인 글은 안 쓸까 했는데, 기억하기 위해 적어둔다.
적어놓지 않아도 기억되겠지만, 그래도 기록한다.

치욕의 날이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