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운날씨에 에어컨이 말썽이다. 냉방이 가동되다가 몇십분정도 지나면 멈춘다.
검색해보면, 실외기 전원을 껐다 켜보라고 하긴 하는데, 해보면 다시 가동되다고 마찬가지 현상이 발생한다.

멈춘 후에 녹색불이 깜빡거리는데, 짧게 1번 , 조금 길게 2번 깜빡거린다. 에러코드 찾아보니 CH21 번 인듯 한데.

DC Peak 에러? 실외기쪽 문제일까?

크게 두가지 경우인 듯 하다.

실외기 장비의 메인보드 불량  또는 실외기의 컴프레셔 문제 ( 메인보드 쪽이 그나마 비용이 조금 적게 드는 듯 함)

무엇이 문제일까? 검색을 해봐도 내선에서 해결이 어려울 듯 하다. 서비스센터에 연락해봐야 겠다.

비용이 어느정도 들려나?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간만에 노트북에서 git 프로젝트를 실행하려고 보니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xcrun: error: invalid active developer path (/Library/Developer/CommandLineTools), 
missing xcrun at: ...

그동안 데스크탑(맥미니)에서 하다보니, 노트북 설정이 꼬였나 했다.

검색해보니 xcode 관련 이슈인 듯 하다.

일단 xcode 를 업그레이드 한다.

xcode-select --install

... 느리네.

OO minutes later ..

완료된 후 다시 시도하면 OK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바이낸스에서 테더(USDT)를 출금(Withdraw)할 때 여러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USDT 는 주로 trx20(트론) 을 많이 쓴다. 수수료가 저렴하기도 하고, 지원하는 서비스(거래소,디파이 등등)가 많다.
바이낸스 지원목록을 보다보니, 그중에 Avalanche(avax)가 눈에 띈다.
(폴리곤(matic)과 함께 지원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듯 하다.)

AVAXC 체인을 주의한다. (erc20 타입의 주소이다)

avax 에서 주로 쓰는 타입은 USDT.e / USDC.e 같은 것들이다.
전송 전에는 해당 토큰인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라 다른 토큰이었다. 바로 USDt 토큰 이다.

USDt 의 컨트렉트 주소는 0x9702230a8ea53601f5cd2dc00fdbc13d4df4a8c7 이다.
USDT.e 는 0xc7198437980c041c805a1edcba50c1ce5db95118 이다
둘이 차이가 있다. 어느게 테더사의 공식(?)지원인지 모르겠다. (둘다 공식지원일 수도)

예상은 USDT.e 는 Wrapped USDT 가 아닐까 예상한다.(USDt 가 native 일 듯 )
그렇지만, 아직 USDt 는 지원하는 곳이 많지는 않다.(USDT.e 가 필요하면 스왑해야 한다.)

스시스왑은 아래처럼 공식지원은 아니다 (컨트랙트 주소를 넣으면 조회가 되기는 한다.)

스시스왑은 미지원이다.(USDT 가 USDT.e 이다)

몇군데 찾다가 토큰 스왑을 지원하는 트레이더조 에서 스왑을 했다.( https://traderjoexyz.com/trade#/ )

뉴스를 찾아보니 작년 11월 경에 런칭을 한 듯 하다.( https://medium.com/avalancheavax/tether-token-usdt-launches-on-avalanche-baf5a313f1a7 )

USDt 와 USDT.e 와 혼동되지 않게 주의를 해야겠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사실 하락장에서는 쉬어가는 것이 좋다.
(희망회로-https://blog.1day1.org/645-를 돌려봐도 단기간에 큰 상승은 어려울 듯 하다)

그러나, 시장을 완전히 떠나면, 추후 상승장의 기회를 놓칠 수도 있다.
하락장에서는 현물(비트코인,이더리움 직접구매)거래는 수익을 내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나, 선물거래는 하락에 공매도를 해서 수익을 낼 수도 있으니 상대적으로 하락장에서도 가능하다.
물론 단순 사고 파는 것보다 복잡할 수 있으니 어느정도 연습이 필요하다.

2020년 하반기에 상승국면에서 선물거래로 꽤 수익을 얻기도 했었다.(https://blog.1day1.org/623)
하락장/상승장 모두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이다.(물론 위험성이 있기에 신중히 투자해야 한다.)

바이빗에서 선물거래 대회를 한다. WSOT 2022 (고수들이 많아서 순위권을 기대하긴 어렵다)

 

간단한 조건은
1. 위 링크등을 통해 가입한다.
2. 대회참여하기 위한 최소금액(500 USD) 에 해당하는 USDT/BTC/ETH 등을 바이빗에 전송한다.
3. 대회시작하면 선물거래를 한다.

나도 몇번 참여를 하긴 하지만, 플러스 수익률 정도를 목표로 하고 있다.(ㅜㅜ)

선물거래를 처음해보신다면, 팁(?)이라면
1. 격리(Isolated)로 하든 Cross 로 하던 배율(leverage)을 크게 쓰던 낮게 쓰던 상관은 없다.
2. 꼭 추천해야 한다면, 격리로 배율은 10~20배 정도를 추천한다. 핵심은 자금관리 이다.
3. 사실 중요한 것은 한번에 많은 자금(증거금)을 거래하지 않고, 5~10% 정도를 하는 것이다.

중요한 부분은 확률적으로 30~40% 의 차트패턴을 가지고 , 손익비(손실/수익 비율)를 높은 거래를 하는 것이다.
주요 차트패턴은 상승,하락 쐐기 / 헤드엔숄더 / 상승,하락 삼각형 등등 본인에 맞는 전략을 사용한다.
이때 손익비를 잘 체크해서 높은 손익비로 거래를 한다.

한번의 거래에 모든 자금을 사용하는 것은 절대금지 - 차트패턴에 100% 확률은 없다.

자금관리만 잘해도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수익이 목적은 아니더라도, 소액으로라도 연습을 많이 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사실 이런 예측은 무의미하다. 그냥 재미(?)삼아 상상해본다.
대략적인 방향정도나 맞으면 다행.

관점의 설명(기본은 반감기)

1. 반감기 이후로 상승관점

2. 상승이후 큰 폭의 하락(70%~84%)
  빨간선 : 70%정도로 희망회로를 돌려본다(현시점 아직 한발 더 남았다- 2017년 고점정도)
  파란선 : 85%가량 빠지는 긴 하락장 시나리오-이건 아니길...

3. 연준금리(10년물 채권금리) - 이건 유동성 관점
  연준금리가 올리다가 고점일때가 저점(올해 9월정도까지 연준금리 고점이라면 비트는 저점?)
  연준금리를 내린다면, 경기는 침체기 , 충분히 내린다면 유동성이 조금씩 투입 => 비트코인 상승기대

4. 비트대비 이더가격(도미) -노란색차트
  현재 비트대비 이더가격이 높은 편이다. 즉, 더 떨어져야 비트가 올라갈 힘을 비축할 수 있다.

희망회로 - 연준금리가 올해 하반기까지 빠르게 올릴 것으로 예상, 단기상승 후
  금리 상승으로 경기가 둔화되면(금리고점) 마지막? 하락(깊지 않게) 후 상승기대
  다행히 경기가 단기 침체 후 호전되어 상승기대

조금 비관적 전망 - 경기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아 깊은 하락이 발생 , 긴 하락장 후 조금씩 상승
  23년상반기까지 하락 : 23년 상반기~24년까지 조금씩 비트를 모아가야 겠다.

결론은 희망회로 일 뿐 , 투자는 본인의 결정으로 하세요.

 

저의 전략은 올해 단기 상승이 나온다면, 주식/코인 등 일부(50%이상)를 정리하여 현금화 한다.
  23년~24년은 비트코인 모아가기 전략 / 주식은 채권등으로 자산분배 할 예정이다.
  즉, 하락장에 대한 대비전략을 실행 할 예정.

 

결론2 : 하락장 잘 버티세요.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