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이 나오느냐 마느냐 이야기가 여기저기서 오고간다.

과연 아이폰이 한국에 출시되면, 일대 혁명(?)이 일어날 것인가?
그럴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고.

한가지 확실한 것은 아이폰이 나오게 되면 절대 애플코리아에 A/S 를 맞겨서는 안된다.
KT 든, SKT 든 자체적으로 A/S 센터를 만들던지, 대행하던지 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이폰 sucks 가 될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애플은 앱스토어에 대한 정비를 좀 해야할 듯 싶다.
지금은 관심있는 사람(혹은 애플빠)들이 앱스토어를 많이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별 말은 없는 듯 하다.
그런데, 일반인들이 유입되어도 괜찮을까?

몇가지 문제점이 보인다.

1. 어플구매에 대한 재 확인이 필요하다.
구매시 계정암호를 확인하기는 하지만, 첫번째 이후는 그냥 바로 구매가 되버린다.
혹시 유료어플을 구매하게 되면 되 돌릴 방법이 없다.
카드결제도 바로 표시(처리?)가 되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다.
난 결제되면 sms 가 바로 오도록 설정해 놓았는데, 어플구매시 구매문자가 바로올때도 있고, 하루~이틀 후에 오는 경우도 있다. 앱스토어에서 카드결제 프로세스가 지연되서 그런것인지, 들쑥날쑥한 점이 거슬린다.

2. 유료어플에 대한 환불절차를 제대로 명시해야 하고, 간편하게 만들어라.
위 어플구매 부분과 연계될 듯 싶다. 환불절차를 알 수 없다.
현재까지 관련 절차를 찾아보고 있는데, 찾을 수 없었다. 어플 설명 부분에 환불절차에 대한 명시도 없고, 관련 링크도 없다. 애플 사이트에서 검색해봐도 찾을 수 없었다. 심지어 구글검색으로 해봐도 없다.(다른 사람은 환불을 생각도 안하나? , 혹은 나만 찾지 못해서일수도 있다.)

현재 방법을 알 수 없어, 최종적으로 어플개발자와 컨택을 해야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중에 있다.
고생해서 개발한 사람에게 환불해달라 라는 것은 좀 낯간지럽기 때문이다.(혹시 애플의 속셈?)
(그냥 얼마나 한다고 그만두자 라는 생각도 들지만, 이런 절차가 불편하다는 것은 이야기하고 싶다)


위처럼 어플에만 해당하는 내용이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서비스의 A/S 라 할 수 있는 부분이 미흡하다. 왠지 '팔고 나면 너랑 끝' 이란 느낌이 든다.

내가 까탈스러운것인지 모르겠지만, 이런 불만이 없는 것이 신기하다.(관련 게시물을 찾아볼 수 없다)
한번도 환불할 만한 어플이 없었나? 또는 다들 애플빠들이야?

최소한 어플구매하고, 사용하다보니 이건 아니다 싶은 것이 있기 마련인데, 그런경험이 정말 없나?
관련 규정이 어떤지 모르겠지만, 하루 단위 혹은 몇시간 단위로는 바로 환불할 수 있는 절차가 필요할 듯 싶다.

사실 애플의 앱스토어 같은 서비스가 기존에 없었기 때문에 애플로서는 시행착오를 겪는 과정일 것이다. 하나씩 고쳐나갈 것이라 생각한다.

아이폰이 들어오는 파급효과는 인정하지만, 괜히 들여와 놓고 욕을 먹는 상황은 되지 않기를 바란다.
아이폰, 안드로이드, 팜프리 등 다양한 스마트폰이 나와서 서로 경쟁하는 시장을 한국에서 볼 수 있기를 바란다.(언제쯤 가능하려나?)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윈도우7 베타,RC 버전등을 설치하려다 보니, DVD 미디어도 만만치 않다.

usb 로 설치하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가급적 별도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는 방법을 이용한다.

1. diskpart 와 xcopy 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윈도우 비스타 이상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방법인 듯 싶다.


2. UltraISO 를 이용하는 방법.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복잡한 방법필요없이 손쉽게 가능하다.
디스크이미지 쓰기 명령을 이용한다.( http://docuya.tistory.com/62 )
상당히 쉬워보인다.  그런데, 쉐어웨어 버전은 사용이 어렵다.(용량제한)



자! 자료를 찾았으니, 실제 설치를 해보자.

diskpart 의 clean 을 하다가, 먹통.
그후 메모리 인식 불가.
AS 를 찾아서 (080-688-0880)

시간,미디어 아껴보려다 배로 당하는구나!


추가 1. 다행히(?) HP usb disk storage format tool 이라는것이 있어, 다시 포맷까지는 했는데.
  빠른포맷으로 해서, 제대로 된것인지 모르겠다(그냥 포맷은 에러로 불가-뭔가 이상이...)

추가 2. 위 프로그램을 윈도우XP 에서 해보니, 그냥 포맷도 에러없이 잘 되네.
  윈도우7 의 문제? 64bit 의 문제?  일단 윈도우7 에서는 하드웨어 작업은 하지 말아야 겠다.

위 작업을 윈도우비스타에서 다시 해봐야 겠다.
윈도우XP 에서 diskpart 가 실행은 되는데, > list disk  명령을 하면 usb 가 인식이 안된다.
아무튼 산넘어 산인데, 마지막으로 비스타에서 다시 해보고 마무리 해야 겠다. 과연 성공할지.


추가 3. 비스타에서 다시 시도.
diskpart 를 실행
list disk                           # usb 가 어떤건지 알아야지.
select disk X                    # 찾았으면  선택하고.
clean                               # 저번에 여기서 뻑났다. 두근두근.
create partition primary       # 우와! 넘어갔다. 파티션 만들고.
list partition                       # 만든 파티션을 볼 수 있다.
select partition 1                # 만든 파티션을 선택하고.
active                               # 파티션 활성 - 부팅시 필요한가?
format fs=fat32 quick           # 포맷한다. 난 빠르게 quick (ntfs 로 할까?)
                                       # 굳이 또 포맷을 해야 하나? (뭔가 단계를 뛰어 넘을 수 듯?)
assign                             # 뭐지?
exit
위 부분이 굳이 필요한가? (포맷하는 과정인듯 한데...)

아무튼 madicdisc 를 이용해 ISO 파일을 마운트 한후 - 파일 내용을 USB 로 복사를 한다.

xcopy 로 복사 ( ISO 는 G 에 마운트. usb 는 H 드라이브 )
xcopy g:\*.* /sef h:\
명령으로 복사. 3기가가 넘으니 좀 걸리겠다.

복사 시작하고 얼마 안 있어 오류...ㅜㅜ
어쩌라는 거지?
그냥 위 상태에서  윈도우XP 에서 xcopy 를 해봐야 겠다.

윈도우7,비스타 -> 데스크탑  ,  윈도우XP -> 노트북  인데,
혹시 데스크탑의 usb 장치가 말썽인것일까? 비스타,윈7 하고 상관없이?


추가 4. xcopy 를 윈도우XP 에서 하고 있다. 현재까지 오류없이 정상 복사중.
  과연 무엇이 문제일까?
  데스크탑 usb 의 문제? (전압이 불안정하다거나, 드라이버의 문제)
  윈도우비스타,윈도우7 의 문제?

추가 5. 윈도우7, 비스타에서는 여전히 오류.
usb 연장케이블이 혹시 라는 생각에 빼고 해보니, diskpart 까지는 제대로 된다.
그런데, 복사시에 오류. usb 쪽이 문제가 있긴 있는 듯 하다.

bootsect /nt60 H: ( usb 드라이브명)  으로 해야 정상부팅이 된다.
xcopy 가 실패해서 그냥 복사로 했다. (xcopy 로 하면 필요없을지도?)

즉, diskpart 는 윈도우7,비스타에서 했고, bootsect 로 부팅가능하게 하고,
윈XP 에서 ISO 내용 파일들을 복사했다.

이제서야 겨우 설치를 해볼 수 있겠다.

usb 가 문제인지는 다른 PC 에 윈도우7,비스타를 깔아서 해보면 되겠지만, 그건 나중에...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시국선언문

우리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로 큰 충격을 받았다. 그의 죽음은 단순한 정치논리의 문제만이 아니다. 그가 추구했고 지키려 했던 정치/언론 권력으로 부터의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민주주의를 수호하고, 권력의 집중을 막으려 했던 것들이 함께 죽음을 맞이한 것이다.

단지 전직 대통령만의 문제가 아니라, 바로 나와 국민 모두가 겪고 있는 문제다. 그의 죽음에 대한 추모행렬은 이런 일련의 사건에 대한 복합적인 상황을 말해준다. 이명박 정부의 표현의 자유 억압, 집회와 결사의 자유 제한 과 경찰,검찰,사법부 권력의 남용 등 비민주주의적인 행태에 대한 반감이 그대로 표현되는 것이다.

그동안 이명박정부와 현정부가 자행한 일들을 규탄한다.

첫째, 개발논리에만 집중해 일어나는 사건들 용산철거민사망사건 , 4대강살리기로 위장한 한반도 대운하, 재벌들의 돈벌이만을 위한 경제정책, 시장논리만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 정책등은 1%를 위한 정책이고, 99%를 죽이는 정책이다.

둘 째, 촛불집회에 대한 무리한 진압및 무분별한 수사, '미네르바' 사건 같은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행태, 명령하는 권력자는 뒤에 숨고 앞으로는 전경을 내세우며 진압하여 사회갈등을 조장하며, 언론사에 낙하산을 투입하여 방송을 제한하는 언론탄압은 민주주의 근간을 흔드는 행태이다.

셋째, 미디어법(언론법)으로 언론장악을 마무리하고, 금융관련법으로 재벌의 수탈행위를 확고히 하고, 사이버명예훼손법으로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행위는 민주주의의 사망을 선고하는 것이다.

지 금까지 벌어진 일과 앞으로 일어날 사건들은 국민의 대다수가 피해를 받았고, 더욱 피해를 받게 될 것이다. 그런 비민주적인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화합과 상생의 길을 가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대한민국은 파멸의 길을 가게 될 것이다.

사회안전망조차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시장원리,경쟁논리 만을 강조하면 비극적인 사건은 계속될 것이다. 재벌들은 미래지향적인 사업에 투자하지 않고, 동네슈퍼까지 돈줄로 거둬가는 쌍끌이식 사업을 그만두길 바란다. 그렇지 않으면 영원히 존경받지 못하는 기업이 된다.

우리는 전직 대통령 서거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사죄하며,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책임있는 자세를 바라며 이명박정부에 다음과 같은 사항을 요구한다.

1. 이명박 대통령은 전직 대통령 서거에 대해 국민앞에 사과하라. 말뿐아니라 '명박정부 내각 총사퇴'를 통해 행동으로 그 의지를 보여라.

1. 민주주의 근간을 흔드는 '표현의 자유' , '집회와 결사의 자유', '언론의 자유' 에 대한 침해를 그만두고, 헌법에 보장된 기본권을 보장하라.

1. 경찰과 검찰, 사법부의 정권의 하수인 노릇을 중단하라.

1. 재벌중심의 경제정책을 철회하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사회안전망 정책을 수립하라.

1. 재벌들은 자신들의 위치에 맞는 사업을 하라.

1. 이명박 정부는 정치적 갈등의 노선은 그만두고, 야당및 시민단체를 적극 등용해 화합과 소통의 정치를 하라.


6월 10일 을 기억하며, 블로거 1day1




ps. 현재 진행되고 있는 http://docs.google.com/View?id=dtn99t7_3fbhhskd3 블로거 시국선언문도 지지합니다.(큰틀에서 동의하는 내용입니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M4655 를 가지고 있지만, 제대로 활용을 못하고 있다.
WiFi 가 있으면 딱 인데, 국내 이동통신사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의 WiFi 를 빼고 출시한다.
(아이폰도 WiFi 를 빼고 출시하는 만행을 저지를지도...)
블루투스를 이용해서 PC를 통해 인터넷을 하는 방법이 있다고는 하는데, 복잡해서 하기 싫다.
요금제를 알아서 신청하라는 것은 거의 학술논문수준의 분석이 필요하다.
뭔 요금제가 그렇게 많으며, 명확하지가 않다. (이 요금제 가입하면 인터넷 쓸 수 있는거야?)
너무 사용자 친화적이라 황송할 지경이다.

그나마 요금제가 나은 LGT 에도 OZ 전용 요금제 같은 것이 있다.
가장 저렴한 것이 6천원수준에 1기가 용량을 제공한다.
타통신사도 1만원내외 요금제가 있지만, 용량은 수십~수백메가 정도밖에 안됨(썩을...)

OZ 전용 휴대폰은 다른 생각없이 그냥 신청해서 하면 될 듯 한데.
M4655(PDA) 는 뭔가 헷갈린다. 웹서핑은 뭐고, 직접접속은 뭐지? (그렇게만 적어놓으면 뭐가 뭔지 어떻게 아냐고!)
대부분 윈도우모바일OS 일텐데,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웹서핑이고, 저 프로그램은 직접접속이다
라고 설명을 해주면 안되나?
'사용자를 공부하도록 하기 위해 긴 설명은 생략한다.'  라는 취지인가?

공부해! 공부해!


웹서핑은 M4655 의 인터넷브라우저(PC인터넷뷰어?)를 통해 하는 경우이고, 직접접속은 M4655 가 AP 역할을 할때를 말하나? SMS, MMS 등은 별도과금인가?

내가 하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다음등의 모바일 포털을 보거나, 이메일 확인하고, 간혹 트위터를 한다거나 하는 정도이다.
모바일 포털은 웹서핑에 해당할테고, 이메일은 별도 클라이언트를 쓰게 되면 직접접속인가?
트위터도 어플을 쓰면 이것도 직접접속?

이런 모호한 규정등이 참 어렵게 만든다.

아이폰이 나와도 그런식으로 서비스할려나?

와이파이를 빼지 않은 아이폰이 나오면 모두 해결되겠지만, 지금의 데이터 정액제는 사용자에게 부당하다. 언제쯤 서비스를 개방하는 날이 올까?

(왜 날 싫어해!!)


와이파이 없는 스마트폰과 이이팟터치의 조합이면 조금 해결 될려나?
와이파이 가능한 지역에서는 터치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이지, 그런데 서로 다른 기기이니 사용에 불편할 듯 하다. 이런 서비스가 있으면 어떨까?

트위터를 예를들면 두 기기를 서로 동기화 하는 것이다. 방법은 블루투스를 이용하면 될 듯 하다.
블루투스는 그런 식의 용도로는 괜찮을 듯 싶다. 문제점은 서로다른 모바일OS 간의 동기화를 위한 별도의 어플이 필요하다는 것이 문제겠지. 그런 서비스가 있으면 좋으련만, 메일 같은 경우 별도의 어플이라도 상관없지만, 트위터 같은 경우 어디까지 봤는지 알 수 없기는 하다.(원래 트위터가 제공을 안하나? 메일의 읽음 표시같은..) 터치어플은 트위터 데이터를 저장해 놓는 듯 한데, 또 다른 어플간에도 동기화가 안된다.(역시 트위터 API 자체에 없는 듯) 트위터 뿐 아니라, SNS 서비스는 그런 API 가 필요하겠다.

SNS 는 그렇고, RSS 리더같은 것도 그런식으로 동기화할 수 있으면 좋겠지, 구글리더 같은 것을 쓰면 상관없겠구나. 웹서핑만 하면 될테니.

메일도 별 상관없겠고, 트위터도 사실 웹서비스 형태로 하면 상관없긴 하지만, 좀 불편하긴 하다.
어플이 모바일에서는 좀더 편한것 같다.(웹서비스를 더 잘 만들면 오히려 웹서비스가 나을 듯 싶지만...)

블로깅(글쓰기) 같은 경우 구글독스, 스프링노트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면 동기화 문제는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럼 웹서비스를 이용해서 동기화가 필요없게 만들면, 두개의 기기를 사용한다고 해도 문제 없겠다.

M4655(PDA) 와 터치 조합으로 하면 되겠구나!
PDA 요금제는 최소로 잡아놓으면 될테고(어차피 이동중에는 별로 사용할 일이 많지 않으니.) 와이파이 지역에서는 터치를 이용하면 된다.

와이브로가 좀더 넓은 지역에서 가능하면 딱이긴 한데, 과도기 상품일지도 모르고, 아직은 시기상조 인 듯 하다. 대도시에 산다면 딱이다. (와이브로 + 에그 + 터치가 딱인데, 와이브로 AP 좀 늘려줘!)


아직 모바일 환경은 절름발이다.
그 이유는 이동통신사의 탐욕때문이라고 본다.(독과점이기도 하다)
이 환경이 언제까지 계속될까?


ps. 과연 WWDC 에서 아이폰이 발표될까? (정확히 한국에 발매를 할까?)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윈도우7 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기존 비스타의 아이튠즈 데이터를 가져오고자 한다.

# 백업할 것은
1) 내 음악(My Music) 의 iTunes 폴더
2) 사용자폴더 / AppData / Roaming / Apple Computer / iTunes 폴더.

해당 폴더의 데이터를 백업한 후.

윈도우 7에서 아이튠즈를 설치하고, 해당 위치에 복사해 주면 된다.


# 백업한 후 증상.
데이터가 꼬여서 그런 것일까? usb 연결이 불안해서 일까?
윈도우7 에서 불안해서 그럴까? 64bit 라서 그럴까?

동기화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 진행이 90% 정도에서 멈춰버렸다.
껐다 켜기를 몇번을 시도했다.
그러다 되는 듯 하였는데, 터치의 몇몇 어플을 삭제한다.(기준이 뭐지? 다 삭제하는 것도 아니네)

유료어플 삭제된것은 어떻게 되지? (무료 다운로드가 되나?)

# 왜 그럴까?
터치가 이상일까? 가끔 초기화를 시켜줘야 하는가?
아이튠즈가 이상일까?  아이튠즈가 편하긴 하지만, 수동으로 할 방법이 없으니 속수무책.
PC 이상일까? usb 연결이 불안하거나, 드라이버가 안 맞는 다거나.
OS(윈도우7) 이상일까?  아이튠즈64bit 로 설치했는데, 궁합이 안 맞나?

일단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으니, 좀더 상황을 지켜봐야 겠다.


추가 : 아이튠즈의 Stores > 컴퓨터인증  으로 인증을 해주어야 하나보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