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kldp.org/node/103550
늘 '아웃라이어'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어떤 사람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능력도 중요하지만 그 사람을 감싸고 있는 문화나 환경 등 외적인 조건도 중요하다, 어떤 일이든 전문가가 되려면 1만 시간 정도는 들여서 정진하여야 한다, 그리고 끈기있게 노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제가 기억하는 대략적인 요지인데요. 그에 대해 제시하고 있는 증거가 자못 흥미롭습니다.
당신의 일생에서 1만시간을 투자한 것이 있습니까?

먼저 1만시간이면 어느정도지?
24 x 365 = 8760
그러나 하루통일 투자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테니.
하루에 4시간정도 투자한다고 볼까? (4시간이면 정말 많은 시간)
4 x 365 x 7 = 10 220
거의 7년이라는 기간이 필요하군.
현실적으로 보면 하루 2시간정도로 줄여보면 14년!

내가 그 정도로 투자한 것이 있는가?
그래 한번 생각해보면, 1만 시간 투자하는 것이 쉽지는 않은 것이다.

자신의 인생에서 그 정도로 투자할 만한 것은 만들어 놓아야지.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몇몇 기사들이 좀 오버(?)해서 나오지 않나 싶다.
즉, 단맛에 대한 것만 나오고 있다. 성공스토리?

애플의 앱스토어 하루에 수백만원씩 수입이 생긴다.
개발자라면 누구나! 혹 할 것이다. 아니 개발자가 아니라도...

그런데, 왠지 짜투리 시간을 써서 개발하면 누구가 대박을 할 수 있다는 분위기이다.
그럴까? 그 대박 프로그램이 노력없이 나왔을까?(그럴수도 있겠지만...)
그간의 그 개발자가 어떤 노력을 했는지에 관한 내용은 없거나, 짤막하다.
관련회사에 근무경력도 무시할 수도 없다.

즉, 짬짬히 시간을 내서 할 만한 일이 아니라는 거지.
아이디어가 특별나다거나, 그간 다진 스킬이 있어 짬짬히 시간내도 질이 높은 놈이 나올 수 있다거나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시간 낭비가 되기 십상이다.
앱스토어가 자유경쟁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괜히 혹해서 아이폰이나 터치사고, 맥북 까지 사지 말란 말이다.(애플이 앵벌이 하나?)
몇개월, 몇년후에 옥션등에 맥북 매물이 쏟아져 나올지도...^^


ps. 호기심은 막을 수 없으나, 그 이상은 조심.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한RSS 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한RSS 페이퍼는 하루에도 몇번씩 접속하곤 합니다.

http://www.hanrss.com/paper

제가 관심있어 하는 글들이 자주 올라오기 때문입니다.
다음DNA렌즈 도 마찬가지로 자주 갑니다.
두 사이트는 제 메일사이트들보다 더 자주갑니다.

그런데, 한RSS 가 개편을 하면서 페이퍼가 사라진다고 하네요.
http://www.hanrss.com/bbs/thread.qst?tsrl=1381
http://ypshin.com/2690625
http://photohistory.tistory.com/4945

운영자의 고민도 엿볼 수 있다.
http://srlog.egloos.com/4802674

그 고민의 결과물일까?


사실 한RSS , 구글 리더 등의 RSS 구독기(?)를 쓰지 않는 것이
RSS 피드 관리의 어려움이 많더군요.
올블 같은 메타블로그도 기웃거리기도 해봤지만, 저하고는 안 맞았습니다.

최종적으로 정착(?) 한 것이  렌즈와 페이퍼 였는데, 그중 한 서비스가 사라지면 정말 아쉽네요.

한RSS 페이퍼 폐쇄하지 말아 주세요. ㅜㅜ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파란호스팅을 써보려고 테스트 하고 있다.
zend framework 를 테스트 중이다.
실제 웹어플,서비스를 하기에는 아직 젠드프레임웍에 익숙하지 않아서 당분간 공부모드.


파란호스팅은 PDO 를 지원하라! 지원하라!

zend 에서는 DB 아답터(라이브러리?)를 PDO 를 밀고 있는 듯 하다.
예제도 그것을 기준으로 되어 있는게 많다.(뭐! 2개밖에 확인을 안했지만... =3=3=3)

근데, 파란호스팅에서는 PDO 를 공식 지원하지 않는다.
pdo_sqlite 는 되는데(공식지원은 아님), pdo_mysql 는 php 확장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래도, zend 의 mysqli 아답터를 사용할 수 있다.
db adapter 를 pdo_mysql(pdo_sqlite) 를 mysqli 로 바꾸면 끝.


DB 캐릭터 셋도 utf8 으로 바꾸자.

파란호스팅의 mysql 은 euckr 으로 설정되어 있다.
utf8 을 쓰기 위해서는 'set names utf8' 쿼리를 DB connection 후에 날려준다.

내 경우에는 bootstrap.php 에 다음을 추가했다.
$dbAdapter = Zend_Db::factory($configuration->database);

$dbAdapter->query('SET NAMES utf8');  // 라인 추가

이상없이 utf8 을 쓸 수 있다.


직접 pdo_mysql 을 올려볼까?
http://www.buggy.id.au/2007/02/19/installing-pdo-on-ubuntu/
다른곳에서 컴파일하고 pdo_mysql.so 를 올리고, php 소스상에서 올린다는 거지.

근데, 안되는군.
disable_functions    dl,mysql_pconnect
dl 함수를 막아놨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우분투를 쓰다보면, 가끔 아래처럼 SCIM 이 두개 뜨는 경우가 있다.

동작에는 별 문제는 없지만, 뭔가 충돌(?)하는 듯 싶은데.

vnc 또는 virtualbox 와 관련이 있는 듯 싶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