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이동통신사는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를 하고 있을까?

난 나를 비교적 나이가 적다는 축에 속한다고 보지만, 휴대폰으로는 음성전화,SMS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첫번째 이유는 2가지 기능 이외에는 도저히 불편해서 못 쓰겠다는 것이다.
두번째는 다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마도 두번째 이유가 크겠다.

그 중 하나의 예를 들어볼까 한다.
바로 MMS , LGT 쪽에서는 shot 메일 이라고 하는 듯 하다.
(SKT 는 컬러메일, KTF 는 멀티메일 이라고 부른다)

MMS 이게 뭔가?  간단히 설명하면 SMS 는 80자로 제한되어 있다.
그 제한을 벗어난 문자수나 또는 첨부파일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아마도 주로 사진을 보낼때 많이 사용할 것이다.

나 또는 친구가 사진을 찍어서 그 사진을 가족이나 다른 친구에게 보내고 싶을때 바로 이 MMS 를 쓰게 될 것이다.
MMS 를 받은 사람은 첨부파일(사진)을  첨부파일 보관함에 저장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요놈이 좀 이상하다.

본인이 찍은 사진은 USB 연결선(?)을 가지고 PC 로 전송이 가능하다.
그런데, 첨부파일보관함에 있는 사진을 PC 로 전송을 할 수가 없다.
(첨부파일보관함 -> 사진보관함 으로 전송이 되지 않는다)

SKT, LGT, KTF 의 모든 기종(anycall , cyon, ktf, sky 등 모든기종)이 다 그런지는 모르겠다.
내가 확인해 본 LGT 는 그렇다.(SKT, KTF 는 추후 확인되면 추가작성하겠음, 제보환영)
핸드폰에 들어가는 기본프로그램은 비슷하기 때문에 크게 차이는 없을 것이다.

저 기능이 없다보니, 타인에게서 받은 사진을 저장하려면, 자신의 메일로 보내서 받아야 하는 어이없는 상황이 연출된다.(보내는 비용이 발생한다.)

용량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 200원에서 4~500원정도의 비용이 발생한다.
자신의 핸드폰에 저장된 파일을 PC로 전송할 수 없게 만들어서 추가 비용이 발생하도록 만든다.

MMS 가 대용량(?)메세지를 보낼 수 있어서 요금이 발생하는 것을 딴지 걸고 싶지는 않다.
(물론 난 비싸다고 생각하지만, SMS 도 비싸다)
그러나, 당연히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로 제공할 법도 한 위와 같은 것들까지도 장삿속으로 요금을 부과하는 것은 정말 구역질이 난다.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다 그런지는 확인후에 추가로 첨부하겠음.


ps. 기종에 따라 가능한 것들이 있을 듯 싶은데.
카메라가 달린 비교적 신형(?)의 핸드폰이 이런 상황이다.(1~2년 이내)
요즘 나오는 스마트폰 들은 기능이 풀려(?)있는지 모르겠다.
(스마트폰들 마저 그렇다면, 정말. 막장.)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윈도우7 베타키를 얻기 위한 힘든(?) 여정.

live.com 계정이 필요하다. 어! 예전에 가입해둔게 있을 듯 한데.
예전 hotmail.com 계정이 있었다는 기억이 어렴풋이 난다.
스팸폭탄으로 거의 쓰지 않았던. 아마도 계정이 사라지지 않았을까?
암호 찾기를 시도해보려해도 영 알수가 없다.(msn 계정도 마찬가지...)
그리고, live.com 으로 아이디를 만든 기억이 있는데, 그것도 사라졌나?


그래 뭐 윈도우7 을 쓸 수 있다는데, 새로 가입해주지.
그냥 베타키만 얻으려고 임의로 막 하다보니, 생일난에 97년 으로 해버렸다.
그렇다보니, 부모님 허락을 받아야 한단다. (헐. 제대로 쓸 걸.)
그냥 임의로 부모님 이메일 넣고 해봤다.
그냥 인증만 하면 되는줄 알았는데, 이거 부모도 live.com 계정이 있어야 한단다.

안해! 그냥 새로 가입하지.

그래서 새로 가입하고 베타키를 얻었다.
좀 고생(?)한 보답(?)을 얻고자 32bit, 64bit  각각 5개씩 얻었다.
윈도우7을 제대로 써줘야 겠다.(이번 버전은 올해 8월까지인가 쓸 수 있다고 본 것 같은데...)

어쩌다보니, 라이브닷컴 계정을 만들게 되었네. 어디다 쓰지?


ps. 이번 윈도우7 베타 빌드넘버 7000 이 마지막 베타려나?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http://blog.cnrocks.net/n-16
음. 윈도우 7 이 베타임에도 불구하고, 비스타 보다 더 호응(?)을 받는 듯 하다.
얼마나 비스타가 에러 였으면...

암튼 비스타의 가장 헛발질은 그 알수없는 패키지 수.
홈, 비지니스, 또 뭐지?
알 수 없다.

그건 그렇고, MS 는 비스타의 헛발질을 만회할 방법은.
윈도우7 을 비스타 서비스팩2 로 푸는 것이다.
즉, 공짜로 주는 것이다.

윈도우 비스타 구매시, 윈도우7 자동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해주는거지.

물론 MS 는 그런 것을 할 만한 배포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노트북 LCD 를 수리한적이 있다.
노트북 화면이 제대로 보이다가, 화면에 줄이가고 이상해졌다. 그러다가 잘 나오기도 하고.
암튼 일단 가장 부품값이 많이 가는 LCD 자체는 이상없는 것 같고, 접촉불량 비슷한 것 같았다. 노트북 LCD 에 대해 잘 모르니, 일단 A/S 를 찾았다. 역시나 통채로 갈아야 한다. LCD패널교체로 20만원정도가 든다고 한다. 헐! 이건뭐 노트북 중고값보다 더 나오잖아!

노트북이 많이 쓰이면서, 노트북 수리 관련 A/S 를 많이 받게 된다.
노트북의 특성상 부품이 근접해 있기 때문에 일반 데스크탑 보다 고장률이 많다고 한다.
일반 데스크탑은 부품교체/수리가 용이한 면도 있지만, 교체방법등에 대한 자료가 많다.
(위 글에서도 정식A/S 센터에서는 전체교체만 해준다는군.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
아무튼 사용자 편의는 별로 생각지 않는 것 같다.

다시 내 이야기로 돌아와서, 정식A/S센터에 수리받는 것은 포기했다.
그래서 LCD 수리하는 곳을 찾았다. 가격을 알아보니, LCD 교체건이라면 A/S 센터와 비슷한 비용이 들었다. 다만, 확인해봐서 간단한 수리라면 10만원정도로 가능하다고 한다. 그나마 비용이 줄었다. 그러나 그래도 비싸다. LCD 수리하는 곳에서는 최소 10만원부터라고 한다. 다른곳을 수소문하면 더 싼곳이 있겠지만, 크게 다르지 않을 듯 싶어서 그냥 수리를 맡겼다.

그런데 좀 찜찜한 구석은 여전히 남아있다. 분명 LCD 상태가 최악(?)의 상황이 아니라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는데, 그 것에 비해 비용이 많이 나온 것 같다는 찜찜함. 화장실 가서 뒤 안닦고 나온 듯 한 찜찜함. 물론 그냥 느낌뿐이다.
확인을 할 수 없으니 말이다. 모르면 바가지 쓴다고 해야하나. 모르면 부르는게 값이다 라고 말하면 끝일까?

앞으로 노트북 수리에 대한 정보가 많아지면, 그런일이 줄어들테고, 직접하는 사람들도 많아지겠지만, 지금은 사람들이 잘 모른다고, 바가지 씌우는 듯한 수리정책이 좋아보이지 않는다. 수리를 맡긴 사람이 '다음에 고장나면 또 와야지!' 라는 마음이 드는 것이 아니라, '이거 다음에는 직접고쳐야지!' 라는 생각이 들게 만들면 잘 못 된것 아니냔 말이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한국에 살다보면(외국에 살아본 적도 없지만...)
내 몸, 팔다리가 묶여 있는 것 처럼 불편할 때가 있다.

가진자들의 권리(?) 만(?)을 위해 그렇다 라는 결론은 그리 어렵지 않게 내릴 수 있다.

http://neoocean.net/blog/1932  미디어를 소비하고 싶다가도 그 불편함이 가로막는다.
음반뿐 아니라, DVD 쪽도 그리 다르지 않다.(다크나이트 구하고 못보고 있는 이 슬픈상황)
이미 편의성은 안드로메다로 가버렸다. 미디어는 소장용의 의미만 가질 뿐이다.

온라인음원도 비슷하지, 음원을 구매할라치면 DRM , 특정 mp3 플레이어에서만 돌아가고
며칠전 애플의 iTunes 의 DRM free 는 새삼 한국사회의 불편함을 다시 느끼게 해준다.
당연하지만, 자유로움이 불법음원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게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언급을 해주어야 한다.

자유를 구속하는 것이 생활화 된 것인지, 불편한것을 불편하다고 말하는 이가 그리 많지 않다. (이미 학교에서부터 그런 것들이 생활속에 자리잡고 있긴 하다.)

 어제 황당한 사건 '미네르바' 도 비슷하다. 그저 황당하다는 말 뿐.
온라인 글쓰기까지 억압하겠다는 것이다. 그나라당에서 추진하려는 법들중에는 자유를 억압하는 법들이 버젓이 들어가 있다.
 흔히 나오는 '빅브라더' 에 관한 영화들도 그 시작은 지금처럼 시작되었을 것 이다. 피해자를 내세우고 과장시켜, 자유를 하나씩 구속하는 법안을 만들고, 심지어 대형사건을 조작하기도 하겠지. 그런식으로 사람들이 강력히 항의하지 않을 정도로 조금씩 조금씩 천천히...

난 그저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할 권리를 갖고 싶단 말이다.
가진자들의 권리를 위해 내 자유를 침해받고 싶지는 않다.
조금씩 양보하면 될텐데, 왜 가진자들은 양보하지 않는가?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