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에 해당하는 글 66건

그동안 주로 8.04 LTS 를 써왔다. 얼마전부터 10.04 LTS 로 업그레이드 하고 있다.
그렇다보니, 설정이 바뀐것이 꽤 된다.
8.10,9.04,9.10 등 3단계를 뛰어 넘어서 언제 바뀌었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https://wiki.ubuntu.com/LucidLynx/ReleaseNotes 여기를 참조)

1. /etc/inittab 이 어디로 갔지?
  inittab 에서 runlevel 설정을 하게 된다. 그런데 없어졌다. 어리둥절.

  부팅설정등이 init 이라는 디렉토리로 바뀌었다.
 /etc/init/rc-sysinit.conf 에서 기본런레벨을 설정한다.
env DEFAULT_RUNLEVE=2
라는 항목이다. (이놈은 9.04, 9.10 부터 바뀐것 같다)

2. 키보드, 모니터 를 빼면 부팅이 안되요.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1452600

grub 을 콘솔로 부팅하는 것이 좋다.
/etc/default/grub

GRUB_TERMINAL=console
GRUB_CMDLINE_LINUX="nomodeset"

gdm 은 모니터,키보드 kvm 체크를 하지 않는다.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1452600&page=3
echo options nouveau modeset=0 > /etc/modprobe.d/nouveau-kms.conf
xorg.conf 설정 변경(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1297815)
Section "Device"
  Identifier "VNC Device"
  Driver "vesa"
EndSection

Section "Screen"
  Identifier "VNC Screen"
  Device "VNC Device"
  Monitor "VNC Monitor"
  SubSection "Display"
    Modes "1024x768"
  EndSubSection
EndSection

Section "Monitor"
  Identifier "VNC Monitor"
  HorizSync 30-70
  VertRefresh 50-75
EndSection

BIOS 도 손봐야 하나?
Halt On 이라는 옵션을 No errors 로 해도 별 차이가 없어 보인다.
[All , But keyboard]
[All errors]
[No errors]
키보드/모니터 어댑터를 연결한다.(하드웨어적 해결방법 - 이건 좀.)


3. gdm 은 자동으로 실행이 안되나?
  위 2번의 xorg.conf 설정을 바꿔서 해결한다. /etc/init/gdm 으로 설정이 바뀌었다.

4. fsck 검사가 민감해 졌나?
보통 /etc/fstab 에서 하드디스크를 마운트 시킨다.
마운트 옵션에서 파일시스템을 체크하도록 하는데, 이게 좀 민감해졌나?
계속 하드디스크에 에러가 있다면서 부팅이 멈춘다.

UUID=0685beb5-ac3f-4308-8cb1-bc1a70a05a42 /user  ext3 defaults 0 0
(정확한 원인을 아직 찾지 못했다.)
일단 뒤의 맨 숫자를 0 으로 해서 파일시스템을 체크하지 않도록 했다.(수동으로 해줘야 겠다)

5. php , ereg 함수는 사용하지 않아.
php 새 버전은 ereg 함수등 deprecate 된 함수들이 있다. 소스를 수정하는 것이 좋다.
그렇지만 임시적으로
/etc/php5/apache2/php.ini  에서
mbstring.func_overload = 4
로 임시조치한다.



ps. 사용하면서 이상한 부분을 클린설치한 시스템과 비교해 보면서 추가 작성할 예정이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얼마전부터 우분투 10.04 LTS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고 있다.
데스크탑, 프린터/팩스 서버, 개발서버 등..

데스크탑쪽에서는 별 문제 없었다.

프린터/팩스 서버에서 좀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었다.
서버를 업그레이드하고, 프린트 테스트를 해보니. cups 로는 넘어갔는데, 프린트를 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혹시나 해서 /dev/lp0 를 보니, 디바이스가 만들어져 있지 않았다.
프린터를 구형 레이저를 쓰는데(패러렐 포트를 쓰는) 이 것이 제대로 잡히지 않은 것이다.

정상적으로는 이런식으로 나와야 한다.

# lpinfo -v
network beh
network socket
direct scsi
network lpd
network http
network ipp
direct parallel:/dev/lp0
serial serial:/dev/ttyS0?baud=115200
serial serial:/dev/ttyS1?baud=115200
network smb
direct hp:/par/HP_LaserJet_1100?device=/dev/parport0
direct hpfax

그런데, 문제가 생긴 부분은 위의 진한 부분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것이었다.

문제는 

# lsmod | grep par
parport_pc             25962  1
parport                32635  3 lp,ppdev,parport_pc

parport_pc 모듈이 올라오지 않는 문제였다. 10.04 의 버그인지는 모르겠지만, 기본적으로 로딩이 되지 않았다.
그래서  /etc/modules 에 parport_pc 를 한줄 추가해줬다.

재부팅해보면 정상적으로 로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팩스쪽도 자동으로 모듈이 올라오지 않았다.
http://blog.1day1.org/306 에서는 기본으로 드라이버가 있었던것 같은데, 이번에는 기본드라이버가 없었다.
http://linmodems.technion.ac.il/packages/ltmodem/kernel-2.6/
에서 ltmodem-20100102.tar.gz 의 최신버전으로 컴파일후 설치했다.
10.04 출시전인 1월경의 파일이라 안될지도 몰랐지만 시도했는데, 정상적으로 로딩이 되었다.

예전과는 모듈이 좀 달라진것 같다.( 예전에는 ltmodem , ltserial 이었다)

# lsmod | grep lt
ltmodem               554956  0
ungrab_serial           1075  1 ltmodem
v8250                   9643  3 ltmodem

일단 모듈이 올라오면 성공이다.
/dev/ttySV0  디바이스가 생겼을것이다.(예전과는 이름이 달라졌다. 예전은 ttySLTM0 )

hylafax , minicom 등에서 사용하기 위해 /dev/modem 을 심볼릭링크 시켜주는것이 좋다.
udev 로 자동 링크시켜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etc/udev/rules.d 에 92-ltmodem.rules  이런식으로 파일을 만들어주고 내용에는

KERNEL=="ttySV[0-9]", NAME="%k", MODE="0660", GROUP="dialout", SYMLINK="modem"

처럼 넣어준다. KERNEL 다음에 == 을 넣어줘야 한다. ( = 가 두개이다. )
부팅해보면,

# ll /dev/modem
lrwxrwxrwx 1 root root 6 2010-09-28 18:17 /dev/modem -> ttySV0

이런식으로 자동으로 링크가 되어 있을 것이다.

ps. 참고로 팩스를 테스트 하는데, 인터넷팩스 제공업체에 가입해서 테스트를 했다.
 보통 가입시 포인트를 주어서 무료로 테스트 해볼 수 있었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우분투가 벌써 10.10 버전이 나오는구나.
아직 베타버전이지만, 곧 나올겠구나.

virtualbox 에서 테스트로 설치해봤다.
virtualbox 를 기본적으로 지원하나 보다.

게스트확장(guest additions) 설치도 패키지로 제공한다.

apt-get install virtualbox-ose-guest-x11
으로 바로 적용된다.

아직 10.04 와의 차이점은 모르겠다. (좀더 써보면서...)

ps. 혹시 설치가 안된다면 다음 명령을 해본다.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linux-headers-$(uname -r)



반응형

'잡다한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프린터 hp laserjet 1100 세팅하기  (0) 2011.01.03
모토로이 - 프로요 루팅방법  (0) 2010.12.29
아이폰4 예약가입  (0) 2010.08.17
모토로이는 괴물폰?  (0) 2010.08.08
텍스트큐브 닷컴을 버리다.  (0) 2010.05.21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간만에 추석을 맞이하여(?) 업그레이드 했다. 기존은 8.04 LTS (주로 LTS 를 사용한다.)
ubuntu 10.04 LTS 버전이 나온지 꽤 되었는데 그동안 테스트를 미뤄왔다.(안정화 될때까지)

데스크탑으로 쓰고 있는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했다.

update-manage -d 로 하면 된다.

업그레이드 중에  zoneminder 때문에 에러가 생겨 삽질을 했다.(거의 다 깔린 상태였다)
(zoneminder 를 쓰신다면 삭제하고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 좋을 듯 함)

재부팅하니, 예전 grub 화면이 나오고, 커널패닉이 발생하는 상황이었다.
즉, 마지막 단계에서 grub 을 업데이트 하지 못한 것이다.
일단 새 커널로 부팅을 해야 한다. grub 화면에서 c 를 눌러 grub 콘솔로 진입한다.
grub> 이런 화면이 나올 것이다.
grub> root (hd0,0)  
탭을 눌러주면 중간중간 뭘 입력할지 힌트를 준다
grub> kernel /boot/vmlinuz-2.6.32-24-generic root=/dev/sda1
역시 tab 으로 뭘 찾을지 선택한다. - sda 는 자신의 설정에 맞게 바꿔준다.
grub> initrd /boot/initrd.img-2.6.32-24-generic
각종 모듈이 들어 있는 이미지이다. 이 부분을 빼면 거의 커널패닉을 보게되니 추가해 준다.
grub> boot
그리고 부팅해주면, 새로 지정한 커널로 부팅이 된다.

부팅이 완료되면, grub-install , update-grub 등으로 grub 을 재설치 해준다.

대부분 기존설정이 따라오니, 크게 바꿔줄것은 없다.
다만, 내 경우에 vmware player 2.5.4 를 사용했었는데, 10.04 에서는 에러가 난다.(gcc 쪽의 문제인듯?)
vmware player  새버전을 설치하면 된다. 현재 버전은 3.1.1 버전이다.

그리고, compiz 상태에서 기본 vnc 는 성능이 좋지 못하다.(화면 갱신이 안된다)
그렇다고 compiz 를 끄기는 애매한 경우 x11vnc 를 설치해서 사용한다.

apt-get install x11vnc xinetd
로 설치해준다.
그리고, xinetd 는 x11vnc 를 자동실행시켜주기 위해 사용한다(취향에 따라 gdm 로그인시 자동실행시켜도 된다.)

/etc/xinetd.d/x11vnc 로 다음내용을 저장한다.
service x11vnc
{
   port = 5901
   type = UNLISTED
   socket_type = stream
   protocol = tcp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bin/x11vnc
   server_args = -inetd -o /var/log/x11vnc.log -display :0 -auth /var/lib/gdm/:0.Xauth -many -bg -noxdamage -rfbauth /etc/x11vnc.passwd
   disable = no
}
여기서 조심할 항목은 /etc/x11vnc.passwd 의 암호를 지정하는 것이다.
x11vnc -storepasswd /etc/x11vnc.passwd
로 하면 암호를 물어보고, 해당 파일로 저장이 된다.

server_args 부분에서  -noxdamage 가 있는데,  compiz 상에서 화면갱신등의 성능이 좋지 않는데, 저 옵션을 주면 좋아진다.

일단 이 정도만으로 기존 쓰던 부분에서 크게 지장되는 부분은 없다.
좀더 알아볼 부분은 virtualbox , 폰트 등을 알아볼 예정.(나눔폰트로 바꿔볼까?)
그냥 느낌인지 모르겠지만, 좀 빨라진 느낌이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http://www.ubuntu.com/products/whatisubuntu/1004features

LTS 버전을 주로 사용한다. 그래서 현재 Hardy 를 쓰고 있다.
이번 우분투는 LTS 버전.  즉, 대대적인 업그레이드의 계절이 돌아왔다.

서버 - 우분투 서버
데스크탑 - 우분투 데스크탑
노트북 - 우분투 alternate

다양하게 설치하게 된다. 우선 데스크탑 부터 테스트. 노트북, 서버 순으로 할 예정.

그동안 데스크탑. hardy 32bit 버전이었는데, 새로 설치하면서 64bit 로 바꿔봐야 겠다.

다운로드.
http://www.ubuntu.com/getubuntu/download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우분투 10.04 알파버전을 깨고, 베타1 이 나왔습니다.
http://www.ubuntu.com/testing/lucid/beta1

간만에 LTS 업그레이드라 바로 업그레이드 했습니다.(베타라 virtualbox 에만.)
애칭은 Lucid Lynx 라고 함.

설치하고, 게스트 확장을 설치하니 X윈도 인식이 제대로 안되네요.
버쳘박스 버전은 3.1.4 입니다.

그래서 찾아보던중.
https://launchpad.net/ubuntu/lucid/+source/virtualbox-guest-additions/3.1.4-1
이건 소스로 해야 하는듯. 일단 패스.
http://www.virtualbox.org/ticket/6404
여기 괜찮은 해답이. 결론은 새 것으로 교체.

http://www.virtualbox.org/download/testcase/VBoxGuestAdditions-r59118.iso

를 다운받아서 설치.

OK 정상작동함.  대충 화면은 이렇다.


ps. 혹시나 virtualbox guest addition ISO 파일 다운속도가 늦다면. => 이곳에서
   (단, 호스팅계정이라 트래픽이 얼마안되서 몇번 다운 못받을 것임. 링크는 언제 끊어질지 모름.)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현재 모토로이를 우분투와 윈도우7 에 세팅해서 개발중에 있다.
윈도우7 은 모토로이 드라이버가 있어서 설치하면 된다.

우분투는 따로 모토로라에서 드라이버를 제공하지 않는다.
우분투의 usb 장치를 인식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udev 를 이용한다.
테스트는 우분투 8.04 hardy 버전과 9.10 karmic 버전에서 테스트했다.

먼저 안드로이드 SDK 를 설치한다.

$ adb devices

를 해보면.. (sdk 의 tools 디렉토리에  adb 명령이 있다.)

List of devices attached
???????????? no permissions


처럼 나온다.
디바이스가 인식되지 않아서 그렇다. udev 를 이용해 인식시켜보자.
(정확히 말하면 권한이 없다고 해야 겠다. lsusb 로는 이미 인식은 되어 있다)

모토로이를 연결하고 lsusb 명령을 내려보면.
$ lsusb

Bus 007 Device 001: ID 1d6b:0001 Linux Foundation 1.1 root hub
Bus 002 Device 001: ID 1d6b:0002 Linux Foundation 2.0 root hub
Bus 006 Device 001: ID 1d6b:0001 Linux Foundation 1.1 root hub
Bus 005 Device 001: ID 1d6b:0001 Linux Foundation 1.1 root hub
Bus 001 Device 005: ID 22b8:41db Motorola PCS
Bus 001 Device 002: ID 148f:2573 Ralink Technology, Corp. RT2501USB Wireless Adapter
Bus 001 Device 001: ID 1d6b:0002 Linux Foundation 2.0 root hub
Bus 003 Device 001: ID 1d6b:0001 Linux Foundation 1.1 root hub
Bus 004 Device 003: ID 05af:0802 Jing-Mold Enterprise Co., Ltd
Bus 004 Device 002: ID 045e:0040 Microsoft Corp. Wheel Mouse Optical
Bus 004 Device 001: ID 1d6b:0001 Linux Foundation 1.1 root hub



이런식으로 나온다. 모토로이가 어떤 것인지 딱 감이 올 것이다.

Bus 001 Device 005: ID 22b8:41db Motorola PCS


adb 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장치를 등록한다.(진한 부분이 핵심이다)

관리자 권한으로 udev rules 를 만들어 준다.

# vi /etc/udev/rules.d/99-android.rules


위와 같이 파일을 만들어서 내용은 다음과 같이 넣어준다.(vi 등의 편집기)

SUBSYSTEM=="usb", ATTRS{idVendor}=="22b8", SYMLINK+="android_adb", MODE="0666"


한줄로 위 내용을 적어주고, 저장한다.

$ ls /etc/udev/rules.d/ -al
합계 24
drwxr-xr-x 2 root root 4096 2010-02-14 01:54 .
drwxr-xr-x 3 root root 4096 2009-12-06 02:15 ..
-rw-r--r-- 1 root root 1405 2009-12-21 20:25 70-persistent-cd.rules
-rw-r--r-- 1 root root  787 2009-12-11 00:51 70-persistent-net.rules
-rw-r--r-- 1 root root   91 2010-02-14 01:54 99-android.rules
-rw-r--r-- 1 root root 1157 2009-10-16 15:01 README


위처럼 rules 파일을 만들어 주면 된다.

udev 를 다시 실행시켜주면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관리자권한 필요)


/etc/init.d/udev restart
또는
restart udev


이때 모토로이의 usb 저장소(외장형 SD)도 같이 인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adb 명령을 다시 해보면.(처음과 다른것을 볼 수 있다)

$ adb devices
List of devices attached
04031826748580332373    device


위 처럼 인식된 장치가 보이게 된다.(보이는 숫자는 다를 것이다.)

이클립스에서 빌드명령을 내려보면, 타겟이 모토로이로 지정되어 뜨게 된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모토로이를 usb 디버깅 모드로  바로 실행시켜볼려고 하는데, 잘 안된다.

현재 virtualbox + ubuntu ( http://blog.1day1.org/394 ) 조합으로 사용중이다.
호스트OS인 윈7에 모토로이 드라이버 설치하고,
http://www.mymotorola.co.kr/product/PrdDownUsb.aspx?id=0045

가상머신에 우분투를 실행시켜 udev 로 인식시키는 것 까지는 되었는데.
http://aphyr.com/journals/show/debugging-the-droid-on-ubuntu-karmic

이클립스에서 어플을 실행시키면 연결된 모토로이로 apk 파일을 업로드해서 실행되는데.
업로드를 못하는 것 같다. 가상머신과 연결상의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따로 우분투용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하는 것인지? (모토로라 쪽에서는 윈도우 드라이버만 제공하는데.)

가상머신이 아닌, 우분투 호스트로 부팅을 해서 다시 테스트 해봐야 겠다.
이것도 안되면 윈도우7 에 개발환경을 만들어야 할 듯 하다.


에뮬을 로딩하는 방식보다 엄청빠르다고 한다.(당연하지만...)
그래서 꼭 하긴 해야 하는데...


[추가]
우분투를 가상머신이 아닌, 호스트로 부팅해서 테스트를 해봤다. 잘 된다.
(android 개발환경을 처음부터 다시 세팅했다.)
64bit 환경이라 몇가지 32bit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줘야 하는 것 빼고는 별 차이가 없다.

정말 빠르다. 바로 실행되네.

새해첫날에 이상한 짓 하고 있는것 같군요. ^^
개발폰에 직접 실행시키는 재미가 색다르네요.
에뮬에서 실행시키는 것과는 느낌이 상당히 다릅니다. 좋습니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2010년에는 안드로이드폰이 많이 나올것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과연 나올까?
나온다고 본다. 다만 그 시기가 언제일지는 모르겠다.
빠르면 2월정도, 상반기에는 꼭 출시되었으면 한다.(구글코리아야! 도와줘!!  전파인증)

안드로이드 개발환경을 구축하기로 했다. 플랫폼은 우분투.
조합은 이렇다.
우분투 9.10 + eclipse 3.5 (galileo) + android eclair (2.01)
가능한 쉽고, 빠른 개발환경 구축을 목표로 한다.
핵심은 어플개발이기 때문에 개발환경에서 삽질은 최소로 줄여야 겠지.

일단 eclipe 까지는 한방에(우분투는 먼저 깔려있어야죠.)
apt-get install eclipse eclipse-jdt
를 하면 관련 패키지를 알아서 설치해준다.


그다음은 developer.android.com 에서 관련 정보를 찾는다.

기본 Quick Start 문서 : http://developer.android.com/sdk/index.html

1. Android SDK 설치.
  링크를 찾아 설치 : linux 를 찾아서 설치해야 겠죠.
  실행할 수 있도록 패스를 설정한다.(PATH=andriod-sdk/tools:$PATH)

2. eclipse 플러그인 설치 (ADT)

 http://developer.android.com/sdk/eclipse-adt.html
 이클립스를 잘 안다면  이 주소만 알려주면 알아서 깔겠죠.
https://dl-ssl.google.com/android/eclipse/
install/update 로 설치하면 됨.

이부분은 eclipse / eclipse-pde 패키지를 설치하면 되는 듯.

3. android SDK 컴포넌트 추가
http://developer.android.com/sdk/adding-components.html
SDK 를 설치하고 AVD Manager 를 실행한다.
왼쪽메뉴의 Avaliable Packages 를 선택하고, 필요한 패키지(컴포넌트)를 설치한다.
혹시 에러가 난다면.

난 2.0 버전 이상의 패키지를 설치했다.(목표는 eclair 이기 때문에...)

4. 안녕! 빵꾸똥꾸야!
자! 여기까지는 준비운동은 끝났다. 본격적인 어플개발을 시작.
제대로 되나. 확인할 겸.
http://developer.android.com/resources/tutorials/hello-world.html
안녕! 세상아를 찍어봐야지.

이클립스에서 android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이때 이런 메세지가 나올 것이다.
The location of the Android SDK has not been setup. Please go to Preferences > Android and set it up
처음 실행시 기본 SDK 의 위치를 찾지 못하는 것이다. 메뉴의 Window > Preference > Android 탭으로 가서
설치한 SDK 위치를 지정해준다.  (andriod-sdk 까지 지정해주면 된다. 풀패스로.)

그리고, 소스를 알맞게 수정을 하고, Run 해주면 나온다.
이렇게! (에뮬실행이 오래걸리는구나! vbox 에서 실행해서 그런가?)

좀더 개발환경에 적응을 하고, 어플을 만들어 봐야 겠다.
뭘 만들지...

아이폰어플에 비해 참 쉽다. 물론 맥북사면 비슷하려나? ^^


[참조]
# avd 디바이스 설정.(Android Virtual Devices)
android list targets
android 타겟지정 avd 생성

 android create avd -n my_avd -t 1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우분투 9.10 을 설치하고, 파이어폭스를 띄우면 자동으로 플래시플레이어 플러그인을 설치한다.
그런데, 이상하게 플레이는 되는데, 컨트롤을 할 수 없다.
그래서 혹시나 해서 64bit 버전으로 수동설치해봤다.


지난번. 우분투 9.04 의 방법과 크게 다르지않다. ( http://blog.1day1.org/262 )

다운로드 주소가 바뀐것 같다.
http://labs.adobe.com/technologies/flashplayer10/64bit.html

다운로드주소
http://labs.adobe.com/downloads/flashplayer10_64bit.html

압축풀고. 해당위치에 복사.


flashplugin-installer 라는 패키지로 설치한 듯 하다.
이상하게 동작하는 것 같아. 그냥 예전방식으로 처리했다.
위 방법도 상관없는 듯. (방법은 알아서 )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리눅스용 구글크롬이 나온지 좀 지난것 같은데.
지금 설치해 봤다.


우분투용  deb 를 지원하니 다운받아 바로 설치하면 끝이다.

설치후 실행.
역시나 빨라서 좋다. 근데, 폰트가 안 맞는지 이상하다.(우분투 8.04)


ps. 우분투 9.10 에서는 폰트도 괜찮게 나온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우분투의 디스크도구에서 이런 경고메세지를 보낸다.

Pallmpsest 이라는 디스크도구 인 듯 하다.

하나는 "디스크가 현재 잘못된 속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런메세지
하나는 배드섹터.
둘다 삼성 하드디스크라는 것이 불안.

윈도우7 을 쓰고 있는데, 별다른 에러메세지를 내보내지는 않는다.
디스크도구가 민감한 것인가?
두 하드디스크가 윈도우7 이 설치되어 있다.
윈도우7 이 설치되면서 하드디스크의 속성을 변화시킨 것일까?

Pallmpsest 가 SMART 기능에 관한 것인듯 하다.

윈도우쪽에서 따로 테스트해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일단 데이터를 백업해야 겠다.
문제는 윈도우7 시스템이 깔려있는데, 뭘로 옮기면 좋으려나!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하드디스크를 점검하다가 윈도우7 의 부트매니저가 이상이 생겼었다.
어떻게 할까 하다가. 윈도우7 정품받은거 설치해보자 라는 생각에 이르렀다.
윈도우7 과 얼마전 출시한 우분투 9.10 을 설치하기로 했다.

그동안 이렇게 쓰고 있었다. ( 윈도우7 + 비스타 + 우분투9.04 )
윈도우7 영문판을 새로 설치하기 위해 공간정리가 필요했다.
문제는 비스타의 처리였다. 업그레이드를 할 것인가? 삭제를 할 것인가?
결론은 쉽게 내려졌다. 비스타여! 안녕~~  잘가~~  영원히...  ( 아! 비운의 비스타여... )


필요한 공간을 위해 파티션을 삭제해서 공간을 확보했다.
56 기가를 윈도우7 , 39기가를 우분투9.10 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기존의 윈도우7 RC 64bit 로 부팅해서 설치해보기로 했다(32bit 라 안될 것 같긴하다)

시디의 setup 을 눌러 실행하니 다음 화면이 나왔다. 어! 되나?

그러나, 파일을 복사하는 것처럼 진행하는 듯 보이더니,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났다.

그래서 부팅DVD 로 부팅해서 설치하기로 했다. 설치과정은 생략한다.(식상하다.)
다시 한번 느낀것은 확실히  설치절차도 참 쉬워졌다는 것이다.(지가 알아서 다 한다)

설치후에 부트매니저 상황을 봤다. 다시 살아났다.(비스타의 흔적은 남아있지만...)


영문판을 설치하고 잠깐 써봤는데, 원래 이렇게 빨랐었나? 설치한 어플이 없어서 그런가?
한동안 한글팩을 설치하지 않고, 그냥 써봐야 겠다. (영문판이라 빠른것인지...)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http://www.ubuntu.com
4월이 지나고, 10월이 되어 벌써 우분투 9.10 의 출시일이 얼마남지 않았다.

코드명은 Karmic Koala   보통 우분투 버전을 풀네임으로 쓰지 않으면 앞글자를 썼는데.
이번 버전은 뒷글자가 많이 쓰일듯 하다. 코알라. ^^

난 주로 LTS 버전을 사용한다. 그렇다 보니 아직 Hardy 를 쓰고 있다.
다음 LTS 버전은 10.04 인 Lucid Lynx 라고 한다.

이번 버전은 부팅속도가 상당히 빨라졌다고 한다.
아직 베타버전이지만, 설치해서 테스트 해봐야 겠다.


코알라.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우분투(리눅스) 시스템을 운영중에 있다.
얼마전 하드디스크 에러가 생겨  시스템을 이전하려 한다.
이런 하드에러도 있고, 하드디스크를 큰 용량으로 바꾸려고 할 경우도 있다.

rsync, tar 등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간단하게 cp -a 를 이용하려고 한다.
/var , /usr  등이 별도의 파티션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  해당 디렉토리를 뺀 / (루트) 를 복사해야 한다.
별도파티션으로 나뉘어 있던 디렉토리는 나중에 옮겨도 된다.

일단 새 하드디스크를 연결한다.
기존 시스템 하드는 /dev/sda 이고,  연결한 새 하드디스크는 /dev/sdb 라고 가정한다.
/ 는 sda1 ,  /usr 는 sda2 , /var 는 sda3  이라고 한다면,  우선 sda1 을 먼저 옮겨도 되고 다 같이 옮겨도 된다.

sda1 은 sdb1 으로 옮길것이다. 데이터를 이동한다.
현재 시스템이 가동한 상태에서 옮겨도 되긴 하지만, 고려할 사항이 많다.
dev , proc 등 시스템 관련 디렉토리를 주의해야 한다.

별도로 마운트 하고 옮긴다.
mount /dev/sda1 /mnt/sda1
mount /dev/sdb1 /mnt/sdb1
이런식으로 마운트 시키고 데이터를 옮긴다.
cp -a /mnt/sda1/* /mnt/sdb1/
이렇게 하면 따로 dev , proc , var/run , var/lock 등을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새하드디스크로 부팅하려면 어떤값을 바꿔야 하나?
fstab 을 새하드디스크의 설정값으로 변경한다.
이때 복사한 fstab 의 값을 변경한다. 즉 /mnt/sdb1/etc/fstab 을 바꿔준다.
fstab 은 UUID 로 설정해 놓는 것이 편하다.

blkid 명령을 내리면
/dev/sdb1: UUID="{새하드UUID값}" SEC_TYPE="ext2" TYPE="ext3"
새로운 하드의 UUID 값을 얻을 수 있다.
fstab 의 해당 값을 바꿔준다.
UUID={기존UUID값}  / ext3 defaults,errors=remount-ro 0 1
이 설정만 바꾸면 되는가?

새 하드디스크에 grub 을 인스톨한다.
grub-install  /dev/sdb
이런식으로 되면 편하겠는데, 아마 안될 것이다.
grub 쉘로 들어가서 직접 바꿔준다.
grub 명령을 내리면  grub >  이렇게 grub 쉘을 사용할 수 있다.
grub >  find /boot/grub/stage1
stage1 은 하드디스크의 MBR 영역에 설치된다.
find /boot/grub/stage1
 (hd0,0)
 (hd1,0)
이런식으로 나오게 된다. 기존 하드는 hd0 , 새 하드디스크는 hd1  이다.
다음처럼 새 하드디스크에 grub 을 설치한다.
grub >  root (hd0,0)
grub >  setup (hd0)
특별히 에러메세지가 없으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을 것이다.

이제 grub 의 menu.lst 를 변경한다. 여기서도 fstab 처럼 UUID 를 변경해준다.
/boot/grub/menu.lst 

# kopt=root=UUID={새하드UUID값} ro console=tty0
이 부분과
title           Ubuntu 8.04.3 LTS, kernel 2.6.24-24-generic Default
root            (hd0,0)
kernel          /boot/vmlinuz root=UUID={새하드UUID값} ro console=tty0 quiet splash
initrd          /boot/initrd.img
이 부분의 UUID 값을 바꿔준다.


이제 새 하드디스크로 부팅순서를 바꾸고 부팅한다.

재부팅후에 BIOS 설정에서 새 하드디스크로 부팅순서를 바꿔서 부팅해 본다.
정상적으로 부팅되는지 확인해본다. 이상이 있으면 기존의 하드로 다시 바꾸면 된다.
하드디스크 위치나 바이오스 설정 등의 차이로 인해 부팅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있으니 설정을 다르게 바꿔가면서 테스트 해본다.

내 경우는  보드의 SATA (sda) , SCSI 컨트롤러, SATA 컨트롤러(sdb)  이렇게 되어 있었다.
바이오스에서 각각의 부팅순서를 바꾸지 못하고, PCI 인터페이스인  SCSI , SATA 가 묶여서 바뀌게 되었다. 그래서 PCI 인터페이스의 맨 처음으로 바꿔야 했다.
SATA 에서는 primary 로 변경하고,  SCSI 는 보드에서 SATA 를 보드의 안쪽으로 바꿔서 SATA -> SCSI 컨트롤러 순으로 변경하고 서야 제대로 부팅할 수 있었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우분투 hardy 로 업그레이드 한 후에 이런 에러가 뜨기 시작했다.
현상은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나온다. 별다른 문제는 없지만, 종료하려고 하면 한참후(20~30초)에 종료팝업(재시작,종료,로그아웃 등의 메세지창)이 뜬다.
Internal error failed to initialize HAL
내부 오류.
HAL  기반(?) 으로 동작되는 프로그램에 이상이 있는 듯 하다.

https://bugs.launchpad.net/ubuntu/+source/dbus/+bug/81670
hardy 의 버그인듯 싶다.

/etc/rc2.d 의 부트스크립트들을 살펴보면.
S12dbus
S13gdm
S24hal
의 순서로 되어 있다. gdm 이 뜨기 전에 hal 이 먼저 실행되어야 하는데, 잘못되어 있다.

위 순서를 바꿔준다.  S13gdm 을 S30gdm 으로 바꿔준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지난글에서 Centos 에서 빌드했었다.(http://blog.1day1.org/329)

우분투(9.04)에서 빌드를 해봤다. SPEC 파일의 몇몇 설정 부분을 수정해야 한다.


SPEC 의 어느 부분을 바꾸나?
1. /var/qmail 디렉토리 관련.

SPEC 에서 qmaild 계정을 만들때  useradd -m  옵션으로 /var/qmail 을 홈으로 지정해서 같이 생성하는데, alias 계정을 먼저 생성하기에 /var/qmail/alias  디렉토리를 생성할 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한다.
그래서 qmaild 계정을 먼저 생성해준다.

또는 계정생성 앞부분에 /var/qmail 을 생성해준다.
if [ ! -d %{qmaildir} ]; then
        mkdir %{qmaildir}
fi

2. useradd 옵션 변경
우분투에서는 옵션이 -M 이 아니라, -m 이다.
useradd 의 버전차이인지 배포판 차이인지는 모르겠다

3. /sbin/nologin  을  /usr/sbin/nologin  으로 바꾼다 (배포판 차이)

4. {_initrddir} 위치 /etc/init.d 가 생성되지 않는다.
우분투는 /etc/init.d 에 위치한다. 
rpm --eval %{_initrddir}
으로 확인한다.

5. pushd , popd 명령이 안 먹나?
ubuntu 에서 /bin/sh 가 dash 라는 놈에 링크되어 있다.
pushd,popd 는 bash 에서 동작한다.  기존것을 지우고,
ln -s /bin/bash /bin/sh
으로 링크해준다.

chkconfig 대신에 update-rc.d 를 이용한다.
우분투는 update-rc.d 를 이용한다. (chkconfig 부분을 찾아서 다음처럼 바꾼다)
update-rc.d -f qmaild defaults
update-rc.d -f pop3d defaults

다 바꿨으니, SRPM 을 다시 만들어야지.
여기까지 변경후 다시 SRPM 을 생성한다.
rpmbuild --bs --with cdb SPEC/knetmail.spec

몇몇 패키지가 필요하다. 해당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설치해준다.
apt-get install libssl-dev

모든 준비끝.
rpmbuild --rebuild --with cdb SRPMS/knetqmail-0.0.1-3.src.rpm

우분투에서도 쉽게 설치하자.


수정된 SPEC 파일이다.(참조) - 기존 spec 파일과 비교해서 직접 확인하기 바란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참 이상하다.

메인보드의 시간설정을 했는데, 얼마후에 시간이 바뀌어 버린다.
GMT-9 (GMT+9) 로  9시간이 차이가 나버린다.

난 분명 16 시로 맞췄는데, 시간은 9시가 되버린다.
CMOS 배터리가 없어서 그러면 공장초기화가 되어 버릴텐데, 그런게 아니다.
보드에서 시간이 고정되어 버리나? time 서버와 자동동기화되지는 않을텐데.
OS 에서 bios 까지 직접 건드리지는 않을 것이고.
Phoenix 바이오스 인데, 이놈의 특색인가? (제조시 국가별 설정이 그렇게 되어 있을까?)

암튼 이상한 현상을 목격하게 되는군.


우분투의 하드드라이브 커널에러가 나온다.
http://ubuntuforums.org/archive/index.php/t-1034762.html
여기에 나오는 에러인데

하드디스크에러다,
케이블 에러다,
커널옵션 ACPI 를 꺼라.
여러가지 이야기가 있다.

fsck 로 돌리긴 했는데, inode 가 깨져서 삭제했다.
일단 부팅이 되고, 관련 에러가 보이진 않지만, 좀 불안하네.

조만간 하드디스크를 교체해야 겠다.


시스템도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지 마라'  라는 것이 적용되는 것 같다.
위 에러난 시스템은  내부 개발용 이다.
내부 SCM , 이슈트래커, 공유공간, 개발서버(VM) 등이 구축되어 있다.
하드 에러가 나서 시스템을 교체할 생각을 하니, 고생이 훤하다.
가장 간단하게 하드카피로 하거나, 새로운 시스템으로 클린 설치를 해야할텐데 말이다.
클린설치하면 설정을 다시 해야 한단 말이지.

그나마 다행인것은 개발서버를 VM 으로 구축해놔서 카피만 하면 된다.
나중을 생각해서, SCM,이슈트래커 도 VM 내에 구축해 놓을까?
마스터서버 는 단순히 OS 와 VM서버 만 올리도록 말이지.
그렇게 분산시켜놓으면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기 좋을테니 말이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큐브리드를 사용해보려고 테스트 중이다.

지난 8월에 2008 R2.0 버전이 새로 나왔다. 64bit 지원과 SRPM 지원이 눈에 띈다.
기존버전은 64bit 환경에 쓰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었다.
그래서 편법(?)으로 쓰기도 했다.(http://blog.1day1.org/312)

Centos(redhat 계열-rpm) 에서 빌드하는 것과 뭐가 다르지?

Centos 에서 cubrid SRPM 빌드를 해봤는데, 별다른 문제없이 빌드가 되었다.

우분투는 기본 패키지는 .deb 이지만,  rpm 도 설치가 가능하다.(특이한 설정이 아니라면)
rpm 을 사용하기 위한 패키지를 설치한다. ( 우분투 hardy 버전에서 테스트 했다)
apt-get install rpm

큐브리드도 SRPM 을 제공하기 때문에 우분투에서 빌드해보았다.

rpmbuild --rebuild 를 해보면 사전에 필요한 패키지들이 있다.
elfutils-libelf-devel
ncurses-devel
libstdc++-devel
glibc-devel
위 패키지 들에 해당하는 우분투 패키지는
apt-get install  libelf-dev libncurses-dev libstdc++6-dev libc6-dev
등에 해당한다.

rpm 방식은 체크하는 방식이 차이가 있어서 해당 패키지를 설치해도 계속 에러가 난다.
그래서 SRPM 의 spec 을 수정해서 다시 SRPM 을 만들기로 했다.

SRPM 패키지 우분투용으로 다시 만들자

먼저 srpm 을 설치한다
rpm -ivh CUBRID-8.2.0.1150-el5.src.rpm
우분투에서는  /usr/src/rpm 에 rpmbuild 관련 파일,디렉토리가 있다.
SRPM을 설치하면  rpm/SOURCES 에 관련소스가 생기고, rpm/SPECS 에 설정파일이 생긴다.

rpm/SPECS/cubrid.spec 을 열어서 
Requires:      ncurses
Requires:      libstdc++
BuildRequires: elfutils-libelf-devel
BuildRequires: ncurses-devel
BuildRequires: libstdc++-devel
BuildRequires: glibc-devel
위 부분을 주석처리한다.  각 줄의 앞에  # 을 붙여준다.

우분투에서는 rpmbuild 시 _sysconfdir 의 위치가 약간 다르게 나타난다.
rpm --eval %{_sysconfdir}
해보면  Centos 에서는 /etc 로 나오는데, 우분투는  /usr/etc  로 나온다.
SRPM 빌드 마지막 부분에 이 부분때문에 관련 파일을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나온다.
/usr/lib/rpm/x86_64-linux/macros  부분의
%_sysconfdir            %{_prefix}/etc
를 다음처럼 바꿔준다.
%_sysconfdir            /etc
SPEC 을 고친후에 SRPM 을 다시 만들어 준다.
rpmbuild -bs rpm/SPECS/cubrid.spec
rpm/SRPMS/ 에 다시 만든 SRPM 패키지가 생성된다.


이제 SRPM 빌드해도 되나?
준비가 끝났으니 본격적으로 우분투에서 SRPM 빌드를 한다.
rpmbuild --rebuild rpm/SRPMS/CUBRID-8.2.0.1150-el5.src.rpm
Centos 와 마찬가지로 JAVA_HOME 설정, ant 등의 빌드시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한다.
apt-get install sun-java6-jdk ant

JAVA_HOME=/usr/lib/jvm/java-6-sun
PATH=$JAVA_HOME/bin:$PATH:$HOME/bin


export JAVA_HOME
export PATH
make , gcc 등의 개발에 필요한 패키지도 설치되어 있어야한다.(대부분 이미 설치되어 있을듯)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최종적으로 rpm 을 만들었는데, 이런에러가.
rpm -Uvh CUBRID-8.2.0.1150-el5.x86_64.rpm
아! 나를 반기는 의존성 오류.
오류: Failed dependencies:
        /bin/bash is needed by CUBRID-8.2.0.1150-el5.x86_64
        /bin/csh is needed by CUBRID-8.2.0.1150-el5.x86_64
        /bin/sh is needed by CUBRID-8.2.0.1150-el5.x86_64
이미 bash , sh 등이 설치되어 있지만, rpm 에서 체크하는 방식이 달라서 그런듯 하다.
즉, 우분투에서는 설치된 패키지 정보가 rpm 에서 알 수 없어서 그런듯 하다.

일단 의존성 체크 없이 설치한다.
rpm -Uvh --nodeps CUBRID-8.2.0.1150-el5.x86_64.rpm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오래된 윈도우용 웹캠이 있다. 윈도우XP 까지만 지원된다.(3개정도 있던가.)
더군다나 제조회사는 이미 망해버린 상태이다.(웹캠 회사는 온전한 곳이 별로 없다)
대기업표 웹캠도 오래된 것들은 윈XP 이상의 드라이버는 제공하지 않는다.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7 을 사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쓸모없는 물건이 되버렸다.
아직 윈XP 가 많이 쓰이지만, 왠지 시한부 인생을 사는 것 같이 씁쓸하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리눅스(우분투)에 연결했다.
3개중 2개는 그냥 인식되네, 나머지 하나도 테스트해봐야 겠다.
치즈(cheese)를 실행시켜보니 잘 되는구나.

웹캠 감시 시스템을 적용해 볼까?
몇가지 찾아보니, motion 과 zoneminder 라는 것이 있다.

우선 zoneminder 를 해보기로 한다.
참조 : http://www.linuxscrew.com/2007/11/05/howto-home-video-security-with-zoneminder-and-ubuntu/


설치하기
설치는 우분투 패키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쉽다.
apt-get install zoneminder apache2 php5-mysql libapache2-mod-php5 mysql-server ffmpeg
카메라 영상을 웹에서 보기위해 apache2 가 필요하다.
mysql-server 는  zoneminder 의 설정등을 저장하기 위해 mysql 을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웹기반으로 카메라 영상 감시를 하기위한 어플이 php 로 제작되어 있다.(php5, mod-php5 필요)
ffmpeg 는 카메라 영상을 동영상으로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패키지 이다.

http://localhost/zm 으로 접속하기 위해 apache 설정을 한다.
ln -s /etc/zm/apache.conf /etc/apache2/conf.d/zoneminder.conf
아파치를 재시작한다.


옵셥설정하기
http://localhost/zm   으로 접속해서 기본 옵션을 설정한다.(오른쪽 윗 부분에 있다.)
옵션중에 다른 부분은 바꿀 것은 없고. image 부분에서
두번째 항목  ZM_STREAM_METHOD  를  mpeg 에서  jpeg 로 바꾼다.(save 를 꼭 해준다)

그리고 zoneminder 를 재시작해준다.
/etc/init.d/zoneminder restart
여기까지 한후, 감시설정을 해준다.(웹캠이 여러개가 있다면, 여러개의 감시설정을 할 수 있다.)

감시설정하기
"Add New Monitor" 를 눌러 설정을 한다.

아무 이름이나 쓰고, Local 로 해준다. Function 은  원하는 것으로 선택한다.
잘못 이해했는지 모르겠지만, Modect 로 설정하면 Event 가 발생할 듯 싶은데, 잘 안된다.
그래서 Mocord 를 하니 제대로 Event 를 잡아내는 듯 하다.(Record 를 해야 하나?)
그리고 저장한다.

소스(Source) 부분에서  웹캠 디바이스를 지정한다.(보통 /dev/video0)
여러개 있다면,  video1 , video2  등의 디바이스가 생겼을 것이다.
capture width , height 는 320x240 이 적당할 듯 하다.
640x480 등은  커널 공유메모리를 늘려줘야 하나보다.(shmall , shmmax 관련)

감시화면보기
모니터 설정후에  설정한 이름을 클릭하면

다음처럼 웹캠 화면이 나온다.(지금은 어두워서, 밝은 것은 프라이버시 문제로...)

이벤트도 기록되는 것을 볼 수 있다.(어떤 상황에 이벤트가 생성되는지 정확한 기준은 아직 모르겠다)

주의사항 : /var/cache/zoneminder 에 영상이 저장된다.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영상이 잘 안보인다면
감시화면을 띄웠을때 카메라 영상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면,
/var/log/messages 를 확인해본다.  퍼미션 에러가 나온다면.
아래처럼 권한을 조정해 본다.(zoneminder 재시작)
chmod 4755 /usr/bin/zmfix
그래도 안된다면, 아래처럼 video0 의 other 권한을 rwx 로 바꿔준다. (또는 666 ,777 )
chmod o+rwx /dev/video0


ps. 테스트에 사용된 웹캠이  Z-Star Microelectronics Corp. ZC0301 WebCam 이다.(lsusb)
저게  LED 조명이 있는데 꺼져있다. 켜는 방법을 아직 못찾겠다.(없나?)
그러고보니 윈도우에서도 조절을 못했던 것 같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우분투 64bit 환경에서 cubrid 를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지난글 : http://blog.1day1.org/311 )

다음은 64bit 환경에서 chroot 를 이용해서 32bit 어플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방법은 다른 어플에 활용해도 된다.
예전에 firefox 32bit flashplayer 문제가 많았을때 사용되던 방법이다.

1. chroot 및 debootstrap 패키지 설치
  # apt-get install schroot  dchroot debootstrap
  schroot , dschroot  둘중에 하나만 선택해도 된다.

 기본 위치를  /var/chroot32/hardy 로 잡았다.(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바꿔도 된다)
 hardy 64bit 환경에서  chroot hardy 32bit 환경을 설정하려한다.
 설치하고  schroot 설정 ( /etc/schroot/schroot.conf - 이미 있음. 추가)
[hardy]
description=Ubuntu hardy
priority=3
location=/var/chroot32/hardy
users={Userid}
groups={Userid},root
root-groups=root,{Userid}
personality=linux32
aliases=cubrid,default
{Userid} 는 본인 계정을 적으면 된다.
chroot 전환방법은
# schroot -c hardy   또는  schroot -c cubrid  또는 schroot -c default 
또는 그냥 schroot 를 실행하면 default 가 실행된다.

이게 좀 복잡해 보이면, dchroot 를 사용한다.
  /etc/dchroot.conf 를 만들고, 다음 한줄을 넣는다.
hardy  /var/chroot32/hardy

  나중에 32bit 어플설정시 schroot 는 좀 이상 동작을 해서 dchroot 가 더 나은 듯 하다.
chroot 전환방법은 schroot 와 비슷
# dchroot -c hardy  또는 그냥  dchroot

 여기까지 기본 설정은 완료 실제적인 chroot 32bit 환경을 구축한다.

2. chroot 기본환경 구축, 설정
# debootstrap —variant=buildd —arch i386 hardy /var/chroot32/hardy http://ftp.daum.net/ubuntu
 젠투 사용자는 익숙할 것이다.(chroot 도) 설치시 필요하니... ^^
 명령에서 엿볼 수 있듯이  i386 아키텍쳐(?) 를 구축하기 위한 기본 시스템을 만든다.
 /var/chroot32/hardy 에 시스템 기본 파일이 만들어진것을 볼 수 있다.
 현 시스템(64bit)에서 필요한 파일들을 복사한다.
# cp /etc/resolv.conf /var/chroot32/hardy/etc/
# cp /etc/apt/sources.list /var/chroot32/hardy/etc/apt/

# cp /etc/passwd /var/chroot32/hardy/etc/
# cp /etc/shadow /var/chroot32/hardy/etc/
# cp /etc/group /var/chroot32/hardy/etc/
# cp /etc/sudoers /var/chroot32/hardy/etc/
# cp /etc/hosts /var/chroot32/hardy/etc/
/etc/fstab 에 chroot 에 필요한 설정을 추가한다.
/proc            /var/chroot32/hardy/proc      none rbind 0 0
/dev            /var/chroot32/hardy/dev        none rbind 0 0
/sys             /var/chroot32/hardy/sys       none rbind 0 0
/tmp            /var/chroot32/hardy/tmp        none rbind 0 0

필요하면 다음 항목도 추가한다.
/home                       /var/chroot32/hardy/home                 none rbind 0 0
/var/run/dbus            /var/chroot32/hardy/var/run/dbus      none rbind 0 0

추가한 후에 마운트 한다.
# mount -a


이제는 chroot 상태로 넘어가서 추가적인 패키지들을 설치한다.
# schroot  ( 또는 dchroot )
chroot 된 상태가 된다.( $ 로 표시하겠다)  그 다음에 패키지를 설치한다.
$ apt-get install wget debconf devscripts gnupg nano
$ apt-get update ; apt-get upgrade
필요하면 추가 설치
$ apt-get install vim aptitude
chroot 에서 빠져 나오려면,  exit  를 입력한다.

3. 32bit 어플 실행환경 설정


/usr/local/bin/do_dchroot  파일 생성 후, chmod 755 로 실행권한을 준다.(chroot 빠져나온상태)
#!/bin/sh

for arg; do
        arg=`echo $arg | sed -e 's/ /\\\ /g'`
        args=`echo $args $arg`
done

xhost +
/usr/bin/dchroot -d "`echo $0 | sed 's|^.*/||'` $args"

32bit 어플실행환경 파일이다.  이 파일을 이용해서 32bit 어플을 실행시킬 것이다.

gedit 으로 테스트를 해본다. (chroot 상태에서 , schroot 나 dchroot 로 )
$ apt-get install gedit
$ cd /usr/bin ; ln -s gedit gedit32
$ exit
chroot 를 빠져나와서
# cd /usr/local/bin ; ln -s do_dchroot gedit32
# gedit32
처럼 링크를 걸고 , 실행시키면 chroot 상태로 바뀌면서 gedit32 가 실행된다.
이런식으로 cubrid 도 실행할 것이다.

4. cubrid 어플 설치,실행.

 chroot 상태에서 cubrid 를 설치, 실행한다. (자세한 방법은 생략한다.)
$ sh CUBRID-8.1.4.1032-linux.sh  (설치)
$ . /root/.cubrid.sh
$ cubrid service start
다음 매니저를 실행해본다.
$ cubridmanager
를 실행하면 몇가지 에러가 발생한다.


위에서 한 방식으로 do_dchroot 로 32bit 어플실행 설정을 한다.
/usr/bin/cubridman_start  를 만들었다.  (chroot 상태)
#!/bin/sh
. /root/.cubrid.sh
cubridmanager

실행스크립트를 만들고, chroot 를 벗어나서 다음처럼 링크시킨다.
# cd /usr/local/bin ; ln -s do_dchroot cubridman_start
# cubridman_start
로 실행시킨다.

java , swt 관련 에러가 보이면, 다음  패키지를 설치한다.
$ apt-get install lilbswt3.2-gtk-java sun-java6-jdk    ( 또는 sun-java6-jre )
한글이 깨진다면.
$ apt-get install language-support-ko language-pack-ko language-pack-gnome-ko
$ locale-gen ko_KR.UTF-8

schroot 로 실행환경 설정
schroot 도 dchroot 와 동일한 형태의 스크립트는 안되지만, 비슷하게 처리할 수 있다.
# schroot -c hardy -p cubrid_start
# schroot -c hardy -p cubridman_start
위와 같은 방식으로 실행하면 된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dapper 에서 hardy 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설정이 조금씩 바뀌는 부분이 있었다.
그 중에 crontab 의 설정이다.
설정 자체가 바뀐 것은 아니고, rule 의 체크가 깐깐해 졌다고 해야하나?

dapper 에 쓰던 설정을 그대로 적용하니, cron 이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왜 그런가 한참을 봐도 모르겠다.

syslog 를 살펴보니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나왔다.
Error: bad username; while reading /etc/crontab
왜 틀렸다고 하지? 이상하네..

그런데 cron 설정한 것을 하나하나 살펴보니.
36 * * * *    /etc/cron.myset/get_ip.cron.sh
이런식으로 되어 있었다.
36 * * * *  root  /etc/cron.myset/get_ip.cron.sh
이렇게 root 로 되어 있어야 하는데 말이다.

어! 그런데, dapper 에서 그냥 저렇게 없어도 작동했던 것 같은데, 그 때도 작동을 안했나?
cron 이 새버전(hardy  버전)으로 바뀌면서 룰을 바꿨나?

여러개중에 하나의 설정 때문에 cron 전체가 작동하지 않았다.
깐깐한 체크가 좋기는 하지만, 한참 헤맸다.


ps. 예전 로그를 살펴보니, 잘못된 설정의 cron 은 실행이 안 된 듯 하다.
  별로 중요한 설정이 아니라, 미처 발견을 못 했나 보다.

  저런경우 /etc/cron.d/  에  cron 설정을 분리해서 넣어두면 좋을 듯 하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ubuntu 의 프린터를 네트워크 프린터로 사용하려한다.
cupsd 를 사용하면 쉽게 설정할 수 있다.

보통 네트워크 프린터 를 사용할 때,

http://192.168.0.167:631/printers/MyPrinter   이런식으로 설정하게 된다.

그런데, cupsd 는 기본설정이 localhost 만 열려있다.
/etc/cups/cupsd.conf   를 수정한다.
#Listen localhost:631
Listen *:631
위처럼 localhost 로 된 부분을  *:631 로 처리한다.
<Location />
  Order allow,deny
  Allow From 192.168.0.*
</Location>
Allow From 192.168.0.*
부분을 추가해서, 네트웍크 프린터를 사용할 내부 네트웍의 IP대역을 허용한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ubuntu hardy 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kdm 의 설정이 바뀌어 자동로그인이 해제되었다.

터미널에서 바꾸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etc/kde3/kdm/kdmrc  를 연다.
AutoLogin 으로 검색해서
다음과 같은 항목의 주석을 해제한다.
[X-:0-Core]
AutoLoginEnable=true
AutoLoginUser=username
username 은 로그인할 유저ID 를 넣는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예전 글은 dapper 버전에서 처리한 것이다(http://blog.1day1.org/86)

그 사이에 관련 오픈소스 프로젝트도 생겼다(http://rt2x00.serialmonkey.com - 원래 있었나? )
2009년 버전으로 새 드라이버가 올라왔다.( 예전 방식대로 해도 상관없을 듯 )


이번에 dapper 에서 hardy 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무선랜카드 에 대한 설정을 정리한다.
한마디로 더 쉬워졌다. 기본제공되어 설정만 하면 된다(따로 컴파일할 필요없음)

hardy 에서는 rt61pci 라고 기본으로 드라이버를 지원하고 있다.
WEP 방식은 설정도 간단하다.

udev 에서 wlan0 로 드라이버를 잡는다.
iface wlan0 inet dhcp
        pre-up ifconfig wlan0 up
        pre-up iwconfig wlan0 essid {ESSID}
        pre-up iwconfig wlan0 Key {key ascii or hex}
auto wlan0
위와 같이 설정하면 끝이다.
WEP key 값은  s:acsii_text  , hex_key_val  형식으로 넣으면 된다.(s: 여부)

또는
iface wlan0 inet dhcp
        pre-up ifconfig wlan0 up
        wireless-essid {ESSID}
       wireless-key {key ascii or hex}
auto wlan0
위 처럼 iwconfig 부분을 바꿔준다. ( pre-up iwconfig 는 직접 설정하는 방법)

그외 기타옵션
 pre-up iwconfig wlan0 mode Managed
 pre-up iwconfig wlan0 channel 9

참조 자료 :
https://help.ubuntu.com/community/WifiDocs/Driver/RalinkRT2500
https://help.ubuntu.com/community/WifiDocs/Driver/RalinkRT61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며칠전(14일) 우분투 dapper 의 데스크탑 버전이 지원중단 되었다.
뭐 그 날짜로 못쓰는것이 아닌, 패키지 업그레이드 등에 대한 중단이다.
그리고 서버버전은 2011년 까지 지원한다.

http://blog.1day1.org/211 그동안 쓰던 서버겸 데스크탑이 바로 dapper 버전이었다.(무려 64bit)

겸사겸사 해서 업그레이드 하기로 했다.(지금하고 있다.)
사실은 cubrid 를 설치,테스트 하는데, dapper 버전을 지원하지 않는다.
마침 잘 됐다 생각에 업그레이드 한다(주말에 할 까 하다가, 그냥 주중에.)
이거 문제 생기면 안되는데, 개발서버용 vm 이 동작하니 아무이상 없어야 하는데...

# dapper 2 hardy

업그레이드 방법은 간단하다.(Thanks Ubuntu, Thanks Debian)
https://help.ubuntu.com/community/HardyUpgrades
sudo apt-get install update-manager-core
sudo do-release-upgrade
일단 업그레이드 하고, 부팅 . 이상없기를.

# 사전준비

APM (apache2 , php , mysql) 을 사용한다면, 미리 업그레이드를 해주는 것이 좋다.
apache 2.x , php 5.x , mysql 5.x  버전으로 먼저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 나중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특히 mysql 4.0.x 는 꼭 mysql 5.x 로 업그레이드 한다.

혹시 모르니 /etc  도 따로 백업받아 놓는다.


# 업그레이드 후 부팅.

두손을 꼭 모으고, 제대로 부팅되길...  ( 특별한 일이 없으면 거의 이상없다 )

자동로그인을 하고 싶다.
http://www.watchingthenet.com/how-to-enable-automati-logon-in-ubuntu-or-kubuntu.html
http://ubuntu.or.kr/viewtopic.php?p=13177
위 처럼 하면 된다.

근데 말이야. 원격이라서 X윈도 화면에 접속이 안되거든.
ssh 는 열려 있으니, 터미널 창에서 설정할 수 없나?
/etc/gdm/gdm.conf 를 찾아서 [daemon] 탭을 본다.
[daemon]
AutomaticLoginEnable=true  # false 를 true 로
AutomaticLogin=1day1  # <-- 사용자ID
위 처럼 바꿔준다.

기타 설정이 바뀐부분을 조정한다.(특히 설정파일을 새 파일로 교체한 경우)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우분투 32bit 버전을 설치해 사용중이다. (왜! 64bit 를 설치안했었지?)
그러다 보니 메모리 4기가가 다 인식되지 않는다.
root@ubuntubox:/home/young# free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3107784    2109980     997804          0     127832    1393036
-/+ buffers/cache:     589112    2518672
Swap:      1469908      37536    1432372
아까운 1기가 메모리.

그래서 64bit 로 재설치 하려고 했다.
그런데, 이 놈한테는 CD-ROM(DVD-ROM)이 없네.ㅜㅜ

64비트 버전으로 설치하기 위해 케이스열고, 시디롬 달고, 하기 싫다.
어디서 외장형 DVD-ROM 이나 구해서 설치할까?(어디서?)
이참에 하나 사둘까? (잘 팔리는지 품절이네. 다른 놈은 비싸고.)

그러고보니, 윈도우에서도 PAE 니 뭐니 해서 32bit 에서도 4기가 이상 인식하던거 같던데,
그거 알아보면 되겠구나. 우분투 데스크탑 커널은 기본 지원이 안되나 보다.
sudo apt-get install linux-server linux-headers-server linux-restricted-modules-server
음 저게 우분투 서버용 커널인가? (서버용 커널은 PAE 가 기본으로 켜져있나 보다.)
설치후에 재부팅을 하면 다음 과 같이 나머지 용량을 인식하게된다.(4기가는 진짜? 4기가가 아니지)
root@ubuntubox:/home/young# free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3887932     668008    3219924          0      15780     339876
-/+ buffers/cache:     312352    3575580
Swap:      1469908          0    1469908
우분투 데스크탑으로 설치하고, 커널은 서버용으로 써도 상관없겠지?(부팅은 정상적이다)


ps. 다른방법으로 커널컴파일로 PAE 옵션을 직접켜면 되겠지만, 커널컴파일 해본지가 언제였더라!(패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우분투 9.04 를 64bit 버전으로 설치했다.

64bit 버전 다운로드 : http://labs.adobe.com/downloads/flashplayer10.html

설치방법은 다운받은 파일을 압축을 풀면, libflashplayer.so  파일 하나가 나온다.
tar xvzf libflashplayer-10.0.22.87.linux-x86_64.so.tar.gz
그 파일을 /usr/lib/mozilla/plugins/  에 복사.
cp libflashplayer.so /usr/lib/mozilla/plugins/
/usr/lib/firefox-addons/plugins/  , /usr/lib/xulrunner-addons/plugins/  에는 심볼릭 링크
ln -sf /usr/lib/mozilla/plugins/libflashplayer.so /usr/lib/firefox-addons/plugins/
ln -sf /usr/lib/mozilla/plugins/libflashplayer.so /usr/lib/xulrunner-addons/plugins/
root 권한또는 sudo 명령으로 복사/링크 한다.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http://www.ubuntu.com
ubuntu 9.04 가 드디어 나왔네요.

사실 우분투가 처음 나왔을때, 또다른 배포판이 나오는구나! 그냥 그런 느낌이었습니다.
리눅스의 배포판은 참 많고 다양합니다. 그런 많은 것들중의 하나가 또 나오는가 그런 느낌이었죠.

그러나, 설치해보고 사용해보면서 딱! 하고 무릎을 치게 된 것이었습니다.
나에게 딱 맞는 배포판이구나!  그런 거죠.

사람마다 취향이 다르듯 배포판에도 그런 취향이 있습니다.
그것이 우분투가 딱 맞춰줬던 것이죠.

그게 벌써 햇수로 5년이 되는군요.(http://en.wikipedia.org/wiki/History_of_Ubuntu)
물론 리눅스를 쓴지는 더 되지만, 한 배포판을 계속 쓴 것은 우분투가 유일합니다.
또 다른 배포판이 나와서 바뀔지는 모르겠지만, 한동안은 계속 우분투를 쓰게 될 듯 합니다.

국내 인터넷 환경이 조금 바뀌면 좀더 즐거울텐데, 그 점이 좀 아쉽기는 합니다.

아무튼 우분투 포에버!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
우분투를 hoary 버전부터 썼던것 같다.(warty 는 그냥 잠깐 설치정도?)
일명 효리 부터 시작해서,  지금까지 쓰고 있다.
hoary 에서 breezy 로 업그레이드 하고 dapper 버전까지 왔다.
2005(hoary), 2006(breezy), 2007(dapper), 2008 ... 2009
이렇게 업그레이드를 한 것 같다.(릴리즈 되고 바로 설치하지 않고 조금 지난후 설치했다)
dapper 가 LTS 버전이라 오래쓰고 있다.
다음 LTS 버전인 hardy 버전 사이의 edgy , feisty , gutsy 등은 다른 PC에 잠깐씩 설치해 본 정도이다. (우분투 릴리스는 다음 참조 : http://en.wikipedia.org/wiki/Ubuntu#Releases )

조만간 hardy 로 업그레이드 할 예정이다. 그래서 여러번 테스트 중에 있다.
그동안 동일 PC 에서는 거의 재설치 없이 버전 업그레이드로 써왔다.
이점이 우분투(데비안) 계열을 내가 좋아하는 이유일 듯 하다.
(아마도 95번 설치해본 윈95, 98번 재설치한 윈98 의 악몽때문일지 모르겠다)

이제 9.04 , jaunty 의 릴리스가 얼마남지 않았다.
(테스트 PC 에 베타를 이미 설치해서 써보고 있다.)
큰 변화는 아니지만, 작은 개선이 눈에 띈다.(ext4 같은 경우 큰 변화겠구나!)

반응형

WRITTEN BY
1day1
하루하루 즐거운일 하나씩, 행복한일 하나씩 만들어 가요.

,